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저출생 고령화' 탓에 인구이동도 최저 수준으로 하락

경제 일반

    '저출생 고령화' 탓에 인구이동도 최저 수준으로 하락

    지난해 국내 이동자 수 612.9만 명 그쳐…1974년 529.8만 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

    1970~2023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통계청 제공1970~2023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이동자' 수 즉,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변경한 이는 612만 9천 명이다.

    전년인 2022년 615만 2천 명 대비 2만 3천 명, 0.4% 줄어든 수치로 1974년 529만 8천 명 이후 거의 반세기 만에 가장 적었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의미하는 '이동률'은 12.0%로, 1972년 11.0% 이후 51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이동자 수와 이동률 감소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이어졌다.

    이동자 수와 이동률 감소 주요인은 우리 사회 고질적인 '저출생 고령화' 탓이다.

    상대적으로 이동이 활발한 20대 인구는 크게 줄어드는 반면, 이동이 뜸한 60대 이상 고령층 인구는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경우만 보더라도 20대는 이동률이 22.8%로 가장 높았다. 30대가 20.1%로, 그다음이었다.

    그러나 20대 이동자 수는 2022년보다 오히려 7만 2천 명이나 줄었다. 이동자 수 감소 폭이 50대 2만 명, 60대 1만 명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컸다.

    인구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은 주택 경기다. 주택 경기가 좋아 주택 매매 등 거래가 활발하면 '주택' 사유에 의한 인구 이동도 증가하는 것이다.

    저출생 고령화 추세 심화에도 중간중간 인구 이동이 증가하는 해가 존재하는 배경이다.

    주택 매매량이 전년 대비 반 토막 났던 2022년에는 인구 이동자 수 감소 폭이 무려 106만 1천 명으로 1979년 108만 6천 명 이후 43년 만에 100만 명을 넘었다.

    지난해도 인구 이동 사유는 주택이 34%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족' 24.1%, '직업' 22.8% 순이었으나 전년 대비 이동자 수가 가장 크게 감소(-4만 1천 명)한 사유는 직업이었다.

    한편, 지난해 서울은 3만 1천 명 '순유출'을 기록했다. 다른 시도에서 들어온 전입자보다 타 시도로 빠져나간 전출자가 3만 1천 명 더 많았다는 뜻이다.

    서울은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34년째 순유출을 거듭했다.

    경기와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은 지난해 4만 7천 명 '순유입'이었는데 수도권 순유입은 2017년부터 7년째다. 순유입 규모는 2022년보다 1만 명 늘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