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보건의료노조·환자단체 "하루빨리 진료정상화"…100만 서명운동



보건/의료

    보건의료노조·환자단체 "하루빨리 진료정상화"…100만 서명운동

    11일~내달 10일 진행…"필수진료 중단 의사들, 국민 지지 받을 수 없어"
    政 '강공책'도 비판…"수련환경 개선 특단대책 없이 전공의 벼랑 끝 몰아"

    업무개시명령에도 의료 현장에 돌아오지 않은 전공의들에 대한 정부의 면허 정지, 처벌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인 4일 서울의 한 대형병원의 모습. 연합뉴스업무개시명령에도 의료 현장에 돌아오지 않은 전공의들에 대한 정부의 면허 정지, 처벌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인 4일 서울의 한 대형병원의 모습. 연합뉴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과 중증환자 단체가 의대정원 증원에 반발해 의료현장을 떠난 의사들의 '집단진료 거부' 중단과 진료 정상화를 촉구하는 범국민 서명운동을 시작한다.
     
    보건의료노조와 한국중증질환자연합회는 11일부터 내달 10일까지 한 달 간 100만 명을 목표로 하는 서명운동을 온·오프라인으로 병행 추진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서명은 '의사들의 진료거부 중단!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촉구합니다'란 제목으로 이뤄지며, 오프라인의 경우 지하철역과 버스터미널, 시장, 공원, 집회장소 등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 위주로 진행될 예정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전국 200여 개 의료기관에서 종사 중인 간호사·간호조무사·의료기사·요양보호사 등 8만 5천 명을 조합원으로 둔 민주노총 산하 산별노조다. 한국중증질환자연합회는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한국폐암환우회·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등이 모인 환자단체 연합체다.
     
    이들은 전공의 집단 이탈로 촉발된 의료공백이 4주차에 접어들고 있다며 "의료계와 정부 간 강대강 대치로 환자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고, 국민들은 생명을 위협받고 있다.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굴복시키겠다는 치킨게임은 환자와 국민들의 고통과 희생을 담보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의사들에 대해서는 응급실과 수술실·중환자실·분만실 등까지 비우고 '국민들을 버렸다'며, "필수의료를 살리자면서 필수진료를 중단하는 의사들의 모습은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을 지키면서 국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올바른 의료정책을 관철시켜 나가는 의료인다운 자세와 전문가다운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지난 7일 서울 시내 한 병원에서 방문객이 로비의 환자의 권리와 의무 게시물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7일 서울 시내 한 병원에서 방문객이 로비의 환자의 권리와 의무 게시물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노조와 연합회는 정부를 향해서도 "신뢰받을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또 전공의 면허정지 등에 속도를 내면서 의대증원 강행 의지를 거듭 밝힌 정부의 태도를 "무능력하고 무책임한 강공책"이라고 혹평했다. 현 사태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응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이들은 "(정부가) 그동안 36시간 연속근무·주 80시간의 살인적인 노동시간, 온전한 휴식을 보장받을 수 없는 당직근무와 온콜(on-call) 근무, 저임금으로 인력 갈아 넣기 등 전공의들의 열악한 수련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이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는 모든 정치력을 발휘해 국민들의 절대적인 관심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조속한 진료 정상화 해법을 제시하고,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를 살리기 위한 실질적인 대화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국민들의 절절한 목소리'가 담긴 범국민 서명운동 결과를 토대로 의사단체와 정부 측에 신속한 진료 정상화 및 사회적 대화 기구 마련을 요구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기자회견과 의사단체 항의방문 및 간담회 등 다양한 실천행동도 전개할 계획이다. 
     

    보건의료노조·한국중증질환자연합회 제공보건의료노조·한국중증질환자연합회 제공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