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도 이용할 수 있도록 점자와 QR코드로 함께 표기해 제작한 대구 지하철 노선 안내도 중. 국토교통부 제공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전·대구·광주 지하철 노선 및 전국 맹학교 재난대피용 점자안내도가 3일부터 제공된다. 지하철 노선 점자안내도는 향후 전국으로 확대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와 국토지리정보원은 이날 시각장애인의 이동편의를 지원하고 올바른 공간정보 전달과 차별 없는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행정구역 및 주변 행정경계 등 위치정보와 지하철 노선정보 등을 점자기호와 점자주기로 표현했다고 밝혔다.
점자주기는 자연 및 인공적 지형지물의 고유명칭 등을 숫자 또는 한글 점자로 표현한 것이다. 그간 시각장애인이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성과 경험에 주로 의지함에 따라 전체적인 노선의 모습과 위치를 이해하는데 불편이 있었다는 게 기관 측 설명이다.
이번 안내도에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 모두 활용하도록 배경지도와 점자, QR코드를 함께 표기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지하철 노선 점자안내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향후 시각장애인 실사용자들과 전문가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 수도권 등 전국을 대상으로 확대 제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재난대피용 점자안내도는 맹학교 담당자에게 제공받은 피난안내도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학교 내 주요시설, 출입구, 계단 등 정보뿐만 아니라, 소화전과 대피로를 점자기호로 표현해 재난발생시 시각장애 학생들의 안전한 이동을 도울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안내도는 맹학교 내에서 지진이나 화재 발생을 대비한 재난훈련에도 사용되고, 신입생들이 학교에 대한 공간정보를 보다 쉽게 인지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안내도 제작과정에는 맹학교 교사·학생, 시각장애인복지관 이용자 등 실사용자 의견뿐만 아니라, 시각장애 분야 전문위원회를 통해 점역사 등 전문가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고 기관 측은 부연했다.
시각장애인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행정구역→행정구역 내 지하철 노선→호선별 지하철 노선도 순서로 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맹학교 대피용 점자안내도는 저시력자 의견을 반영해 지도색상을 고대비(파랑색 바탕위에 흰색 글씨)로 한 점도 눈에 띈다.
이번에 제작·인쇄된 점자안내도는 전국 맹학교와 점자도서관 등 26개 기관에 무상으로 배포하고, 출력용 파일은 국토지리정보원 누리집을 통해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조우석 원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공간정보를 담은 점자지도 제작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차별 없는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