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앞으로 환자와 의료진이 지나가고 있다. 황진환 기자정부가 '응급실 대란' 대책으로 운영에 차질을 빚는 의료기관에 군의관·공중보건의사를 투입하고 있지만 의료현장 곳곳에서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응급실 의료현장에서는 전문성이 부족한 군의관·공중보건의사가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6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지난 4일 이대목동병원은 전날 투입된 군의관 3명에게 복귀를 통보했다. 병원은 이들이 응급실에서 근무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충남대병원도 파견된 군의관 2명이 응급실 업무를 맡을 수 없다고 보고 세종시에 군의관 교체를 요청했다. 강원대병원도 군의관 5명이 파견됐는데, 파견 첫날에는 1명만 출근했다.
정부가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대형병원 5곳(이대목동·강원대·세종충남대·충북대·아주대병원)에 먼저 인력을 투입했지만, 응급실 업무를 두고 차질을 빚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정윤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전날 "업무 범위에서 병원마다 해당 사항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며 "그런 상황과 군의관의 이해가 달라서 업무 조정이 원만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실에 구급대원이 환자를 이송한 후 대기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앞서 정부는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있는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지난 4일 군의관 15명을 투입했고, 오는 9일부터 군의관과 공보의 등 250명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응급실 의료현장에서는 이렇게 급파된 인원들이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응급실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응급 환자를 다루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이다. 실제 오는 9일부터 파견될 예정인 군의관 250명 중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8명뿐이다.
이형민 응급의사회장은 "응급실 업무는 전문성과 숙련도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고가 나기 때문에 일을 맡길 수가 없다"며 "응급실에서는 실질적인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