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위원장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회유 의혹과 관련해 성 위원장 직권으로 야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열렸다. 연합뉴스국회 국방위원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17일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국방위원장이 직권으로 긴급 현안질의를 소집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탄핵공작 모의 정황' 발언에 대한 사과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성명서를 내고 "국회 단전 사태와 곽종근 전 사령관·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에 대한 회유 의혹을 규명한다는 명목으로 일방적으로 국방위원회를 강행한 데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성 위원장이 제기한 회유 의혹에 대해 "회유 전후의 증언이 바뀌어야 할 텐데 곽종근, 김현태의 증언은 바뀌지 않았다"며 "혹시 곽 전 사령관이 12월 10일 오후 우리 당 의원들을 만난 후 보다 구체적인 증언을 한 것을 두고 회유라 한다면 그야말로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또 "국민의힘은 계엄군의 국회 단전 조치를 곽 전 사령관의 독단적 행동으로 몰아가려 하고 있지만 국회 단전의 실질적 지시자는 윤석열 대통령"이라며 "곽 전 사령관은 김 단장에게 윤석열의 지시 이행을 명령하면서 '전기라도 끊으라'고 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성 위원장은 이날 국회 국방위를 소집해 민주당 의원들이 12.3 내란 사태에 동원된 군 지휘관들(곽종근·김현태)을 회유했다는 의혹에 대한 현안질의를 진행했다. 성 위원장은 이에 앞선 지난 13일 대정부질문에서도 이같은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한편 김 단장은 이날 질의에서 "단전은 특전사령관이 4일 (새벽) 0시 30분에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기 위해 생각해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며 "당시 그 지시가 건물 봉쇄 및 확보에 필요한 지시라고 이해했다"고 말했다.
단전 지시를 받은 배경에 대해 "(국회 내부에) 많은 분이 막고 있어서 더 이상 진입이 어렵다고 보고했더니, 특전사령관께서 그러면 혹시 전기라도 내릴 수 없는지 찾아봐라 말씀하셨다"며 "이에 따라 최소 인원으로 지하 1층에 내려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