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지난해 하반기 郡·區지역 고용률 역대 최고…市지역은 꺾여

지난해 하반기 郡·區지역 고용률 역대 최고…市지역은 꺾여

통계청 제공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에 따르면 9개 도의 77개 시(市)지역의 취업자는 1406만 2천 명으로 전년동기대비 5만 6천 명 증가했다.

또 9개 도 내 76개 군(郡)지역의 경우 취업자는 211만 5천 명으로 1만 2천 명 증가했다.

고용률은 시지역의 경우 62.4%로 0.1%p 떨어진 반면 군지역은 69.4%로 0.5%p 상승했다. 군지역의 고용률은 통계청이 지역별고용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래 가장 높은 기록이다.

시 지역 가운데 가장 고용률이 높은 지역으로는 제주 서귀포시(71.4%), 충남 당진시(71.3%), 전북 김제시(68.8%)가 꼽혔다. 군지역에서는 경북 울릉군(83.5%), 전남 신안군(79.1%), 전북 장수군(77.7%)의 고용률이 가장 높았다.

세종을 제외한 서울과 부산 등 7개 특·광역시의 75개 구(區)지역 취업자는 1162만 9천 명으로 9만 3천 명 증가했고, 고용률은 59.0%로 0.3%p 상승했다.  이 역시 구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가 시작된 2021년 이후 해마다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 가운데 대구 군위군(75.3%), 인천 옹진군(74.5%), 부산 강서구(70.3%) 등에서 고용률이 높았다.

통계청 제공통계청 제공
한편 시지역의 실업자는 41만 7천 명으로 2만 5천 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2.9%로 0.2%p 올랐다. 군지역은 실업자가 2만 5천 명으로 2천 명 감소했고, 실업률은 1.1%로 0.1%p 떨어졌다. 특광역시 구지역의 경우 실업자는 1만 5천 명 감소한 41만 5천 명, 실업률은 0.2%p 하락한 3.4%를 기록했다.

실업률이 높은 지역으로는 시지역에서는 경기 부천시(5.2%), 경북 구미시(4.8%), 경남 거제시(3.4%)가, 군지역에서는 강원 고성군(2.6%), 전남 화순군(2.4%), 경북 울진군(2.4%)이, 구지역에서는 부산 영도구(5.2%), 인천 동구(5.1%), 서울 관악구(5.0%)가 꼽혔다.

각 시군구 내에서 취업활동 및 생활을 하고 있는 15세 이상 인구로, 거주지역과 관계없이 각 시군구 내에서 근무하는 취업자와 해당 시군구 내에 거주하는 실업자 및 비경제활동인구를 모두 합한 '지역활동인구'의 경우 시지역의 지역활동인구는 2184만 명으로 15세 이상 거주인구 대비 비중이 96.9%에 그쳐 거주인구에 비해 지역활동인구가 적었다.

반면 군지역의 지역활동인구는 333만 9천 명으로 거주인구 대비 비중은 109.5%여서 지역활동인구가 더 많았다. 특광역시 구지역 역시 지역활동인구가 2013만 명으로 거주인구 대비 비중이 102.2%를 기록했다.

각각 거주인구 대비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는 시지역은 경기 포천시(125.8%), 경북 영천시(111.9%), 전남 나주시(111.8%)가, 군지역은 전남 영암군(136.5%), 경북 고령군(133.5%), 경남 함안군(128.0%)이, 구지역은 서울 중구(333.9%), 부산 중구(211.3%), 대구 중구(157.5%)가 상위권이었다.

거주지와 근무지가 동일한 거주지 내 통근 취업자 비중을 살펴보면 시지역은 전남 여수시(98.8%)와 충남 서산시(96.6%)가 높은 반면 경기 의왕시(22.9%), 전남 목포시(70.2%)가 낮았다.

군지역은 전남 진도군(100.0%)과 경북 울릉군(100.0%)이 높고, 경북 칠곡군(59.4%)과 충북 증평군(65.9%)이 낮았다.

구지역은 인천 옹진군(97.4%)과 대구 군위군(93.9%)은 높았고, 서울 동작구(25.4%)와 부산 북구(33.4%)는 낮았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