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아침 거른 노동자 '천원 아침식사'…경남형 '휴식 프로젝트' 추진

아침 거른 노동자 '천원 아침식사'…경남형 '휴식 프로젝트' 추진

중소기업 노동자 1천원 아침식사 시범 추진, 내년 확대 검토
노동자 맞춤형 쉼터 확대
비정규직 노동자 지원센터 등 권익보호·정주여건 개선

1천원의 아침밥. 경남도청 제공 1천원의 아침밥. 경남도청 제공 
경남 지역 중소기업 노동자를 위한 '1천 원의 아침식사'가 제공되고 노동자의 쉼터도 확대된다.

경상남도는 노동과 생활이 조화로운 '경남형 노동자 휴(休)·식(食)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후반기 경남도정의 핵심 가치인 '복지·동행·희망'을 실현할 6호 정책이다.

올해 처음으로 노동자의 1천 원의 아침식사를 시범사업으로 추진한다. 우선 밀양 초동특별농공단지 노동자 180여 명에게 든든한 아침 한 끼를 다음 달부터 지원한다.

이 단지에는 기업 39곳이 있고, 682명이 일하고 있다. 식당 운영이 활성화하지 않은 데다 시내와 멀리 떨어진 외곽에 있어 아침을 챙겨 먹기가 쉽지 않다.

아침 식사를 하지 못하고 일찍 출근하는 노동자에게 김밥·샌드위치 등 7천 원 정도의 간편식을 1천 원에 먹을 수 있도록 기업에 직접 배달한다.

경남도와 밀양시는 2억 4600만 원을 들여 나머지 6천 원을 지원한다. 도는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천 원의 아침식사를 내년에 확대할 계획이다.

노동자가 편히 쉴 수 있는 맞춤형 쉼터도 늘린다.

배달·택배·대리운전 기사 등 이동노동자의 거점쉼터 1곳과 간이쉼터 1곳을 올해 양산과 김해에서 추가로 운영한다.

현재 도내에는 창원 성산구와 김해 장유에 거점쉼터 2곳, 창원 마산합포구·진주 등 간이쉼터 7곳 등 모두 9곳의 이동노동자 쉼터가 운영 중이다. 4월에 문을 열 양산 쉼터는 도내 세 번째 거점쉼터이자, 양산 지역 첫 이동노동자 쉼터다.

거점쉼터는 휴식 공간 외에도 노동·법률·취업 상담 등 노동권익 향상 서비스를, 간이쉼터는 이동노동자의 접근성에 맞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김해 이동노동자 쉼터. 경남도청 제공 김해 이동노동자 쉼터. 경남도청 제공 
올해 50명 미만의 중소 제조업체·사회복지시설·요양병원 등의 현장 노동자 휴게시설 40곳을 2억 5천만 원을 들여 개선한다. 한 곳당 최대 500만 원을 지원해 휴게시설을 확충하고 비품 등을 살 수 있도록 한다.
 
콜센터·간호사 등 감정노동자를 위한 편의시설도 5곳을 지원한다. 감정노동자 보호에 필요한 CCTV·전화녹음기 등 각종 장비, 쉼터 개보수·편의시설 설치 등을 하는 데 업체당 최대 500만 원을 지원한다.

노동자의 정유여건을 개선하고자 조선업 신규취업자의 이주정착비를 지원한다. 다른 시도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창원·통영·거제·고성 등 4개 시군에서 3개월 이상 근속하면 매월 30만 원을 지원한다. 2023년 117명, 지난해 79명을 지원했으며, 올해 2억 8800만 원을 들여 80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8억 4700만 원)에 이어 올해도 중소기업에 통근버스와 기숙사 임차비용을 지원한다.
 
중·동·서부 등 3개 권역에서 운영 중인 비정규직 노동자 지원센터는 노동자 권리 보장과 노동복지 향상에 힘쓰고 있다. 임금체불·차별·부당해고 등 노동 상담과 노동 상담가 양성 등 각종 교육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경남도 경제통상국장 브리핑. 최호영 기자 경남도 경제통상국장 브리핑. 최호영 기자 
찾아가는 도민 노무사제는 취약 노동자와 소규모 영세 사업주의 노무 관련 어려움을 듣는다. 창원·진주·통영·김해·양산권 등 권역별 20명의 도민 노무사가 노동 상담과 컨설팅, 노동법 교육 등을 지원한다.

경남도 조현준 경제통상국장은 "수요자 중심의 노동 복지 사업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등 노동과 생활이 조화로운 경남 실현을 위해 시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