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룡면 사회단체가 소각장 적극 참여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회단체 제공순천시 해룡면 사회단체(이장단협의회, 주민자치회, 체육회, 새마을지도자협의회, 노인회, 바르게살기위원회 등 17개 단체)가 쓰레기 소각장 건립에 적극 참여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지만 소각장 부지 근처인 연향 3지구 주민들을 중심으로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사회단체는 26일 해룡면 행정복지센터 앞에서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소각장(공공자원화시설)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필수 기반 시설"이라며 "쓰레기가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주민 복지에 기여하는 복합시설의 에너지원으로 우리 마을의 미래를 바꾸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회단체는 "소각장을 더 이상 외면하거나 미룰 수 없는 상황에서 갈등보다는 해결을 위한 대화와 공동의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모적인 논쟁을 넘어 소각장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지역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소각장 백지화 촉구 피켓. 고영호 기자연향 3지구 등의 시민들은 해룡면 시민단체의 이같은 주장을 반박했다.
3지구의 한 주민은 "성명을 낸 해룡면은 입지 타당성 보고서상 주민협의체 구성 요건인 소각장과 300m 이내의 영향권에 속하지 않는데, 면 시민단체의 이름으로 주민협의체 구성 등 입장을 내는 것은 300m 이내라는 당사자 자격이 없는 셈"이라며 "순천시가 주민 통합 대신 주민들간 갈등을 유발시키는 것 같아 이번 사회단체 성명서는 대응할 가치조차 없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3지구 주민은 "순천시민이라면 어떤 상황인지 제대로 파악하고 나서야 하는데 무슨 무책임한 성명서인지 모르겠고 성명서를 낸 단체들은 부끄러운 줄 알라"며 "목포시는 900억원으로 하는 소각장을 순천시는 도심에 3천억원이나 들이고 연간 운영비가 500억원 넘게 추산된다는데, 공무원들 봉급도 주기 어렵다는 경기도 의정부시 소각장 처지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소각장과 가까운 오천지구 시민도 "순천시가 80년대식 관변단체 동원으로 언론 플레이를 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워 한심하다"며 "순천시가 부지로 추진하는 '연향들 A'는 애초 종합평가에서 2위 지역이었다가 1위로 둔갑했는데 사회단체가 이같은 점 등을 지적하면서 소각장 건립을 강행하려는 순천시정을 견제해야 할 것"이라고 일침을 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