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유족 등 시민단체가 애경산업 본사 앞에서 '애경산업 규탄 기자회견'을 갖는 모습. 황진환 기자정부가 국가 책임을 담은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준비하는 가운데, 주무 부처인 환경부는 피해자·유족 간담회를 마치고 개별 의견조사에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3일까지 △서울·수도권 △충정·대전 △전라·광주 △강원 △대구·경북 △부산·울산 △경남 등 전국 7개 권역에서 피해자·유족 간담회를 실시했다.
환경부는 관련 기업과 함께 총 10회에 걸쳐 간담회를 실시, 대면·비대면을 포함해 약 360명의 피해자와 유족을 만났다고 전했다.
간담회는 환경부가 집단합의·피해구제 등 가습기살균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방향과 각종 피해자 지원사업을 설명하고, 참석한 피해자와 유족의 개별의견을 직접 듣는 자리로 마련됐다.
환경부는 "피해자들은 대체로 정부가 주도해 신속하게 집단합의를 추진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다만 환경부가 유족에게 제안한 피해자 합의대표 선임 필요성 등과 관련해 유족들은 "합의 기준의 설정과 대표 선정 방식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족들 사이에선 "합의 이후에도 치료비 지원이 계속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수 있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피해구제와 지원제도 관련해서는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내 국가책임 반영 요청 △피해자 현역 입대 기준 완화 필요 △피해구제 청구 방법 간소화 등이 제시됐다고 한다.
개인별 피해 인정과 피해 등급 판정에 대한 이의 제기도 나왔다.
환경부는 이번 간담회 후속조치로 피해자와 유족을 대상으로 △집단합의 희망 여부 △합의대표 선임 방안 등에 대해 개별의견 조사를 4월 말부터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개별의견 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이나 휴대폰 번호 및 주소 변경 관련 문의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가습기살균제피해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환경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제시된 정책 및 제도개선 관련 의견을 빠짐없이 정리해 향후 집단합의위원회 논의와 관련 법령 개정 과정에서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