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우리나라가 발행하는 국채의 WGBI(세계국채지수·World Government Bond Index) 편입 시작 시점이 당초 예정했던 올해 11월에서 내년 4월로 연기됐다.
WGBI를 관리하는 영국 런던 증권거래소그룹 산하 'FTSE(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 러셀'은 8일(현지시간) 발표한 '2025년 3월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 검토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다만 전체 편입 기간도 기존 1년에서 8개월로 단축해 최종 편입 완료 시점은 당초 예정과 동일한 2026년 11월이 된다고 FTSE 러셀은 전했다.
'1년간 분기별'로 단계적 편입하려던 방식에서 '8개월간 월별'로 나눠, 내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동일한 비중으로 총 8회에 걸쳐 단계적으로 편입된다.
FTSE 러셀은 이 같은 조정에 이유에 대해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국채시장에 원활히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 기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WGBI 패시브 투자자금의 40%를 차지하는 일본 투자자들 사이에서 시스템 충돌에 따른 조정 필요성이 일부 제기됐다고 한다.
또한 FTSE 러셀은 "분기별보다 월별로 나눠 편입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포트폴리오 운용이 더 간단하고 용이해진다는 실제 시장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했다"며 "지수 사용자들이 더 짧은 기간 동안에도 전체 한국 비중을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을 반영했다"고 조정 이유를 부연했다.
아울러 FTSE 러셀은 "한국의 WGBI 편입에 대해 시장 전반에서 폭넓은 지지가 지속되고 있다"며 "최종 편입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편입 방식 변경은 글로벌 투자자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한국 국채의 원활한 지수편입(frictionless index inclusion)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FTSE 러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한국의 WGBI 예상 편입 비중은 2.05%로, 전체 편입 국가 중 9번째로 큰 규모에 해당할 전망이다.
한국의 WGBI 편입시 국가별 예상 편입 비중은 △미국 41.9% △중국 10% △일본 9.7% △프랑스 6.4% △이탈리아 5.9% △독일 5% △영국 4.7% △스페인 3.9% 등 순이다.
한편 한국 국채의 WGBI 편입 시작 시점 연기에 따라 국채 가격이 일부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해 기재부 관계자는 "올해 안에 어떤 변동성이 있는지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할 때 시장안정조치를 해 나가겠다"며 "국채물량은 시장과 소통해가면서 큰 충격이 없도록 조정하는 등 적기 대응하려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