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화 제주도의원이 9일 제437회 도의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질의하고 있다. 제주도의회 제공제주 관광이 바가지 요금 논란으로 위기를 겪으면서 제주도가 업종별 권장가격 도입과 가격 불만 신고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9일 제주도의회 제437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박두화 의원(민주당, 비례대표)은 "최근 제주를 찾은 관광객 사이에서 '비싸다', '불친절하다'는 말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관광 부서만의 노력이 아닌 음식‧숙박업계 등 지역업소 전반의 품질관리와 신뢰 회복이 병행돼야 한다"며 "'착한가격업소' 제도를 통해 도민과 관광객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신뢰 기반이 구축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착한가격업소를 단순 인증에서 벗어나 모바일 쿠폰이나 SNS 이벤트, 여행주간 연계 등의 실제 소비를 유도하는 캠페인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답변에 나선 오영훈 제주지사는 "관광 업종별 합리적 가격 수준을 안내하는 제주 관광 권장가격 가이드라인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9일 제주도의회 제437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오영훈 제주지사가 답변하고 있다. 제주도의회 제공오 지사는 또 "관광 불편 신고센터를 활용한 가격 불만 신고 체계 구축을 빠른 시일 내에 진행하고 제주연구원이나 제주관광공사와 협업해 제주 관광 물가 불안 품목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하겠다"고 설명했다.
착한가격업소 제도 활용 제안에 대해선 오 지사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물가 안정에 기여한 업소에 지원하는 것이 착한가격업소 제도인데 지난해 7월부터 네이버 맵과 카카오 맵에서 착한가격업소 확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새로운 브랜딩 필요성을 역설하고 "동종 업종 평균 가격보다 15% 내지 20% 싼 업소에 대해서는 최저 가격 업소로 선정해 인센티브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