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결혼생활 10년간 명절 때마다 친정 못가게 하더니…



사회 일반

    결혼생활 10년간 명절 때마다 친정 못가게 하더니…

    부부간 가족간 명절 스트레스 관리 잘못하면 큰 화

    경기도 용인시 경부고속도로 신갈분기점 하행선이 귀성 차량들로 정체되고 있다. (송은석 기자/자료사진)

     

    각자의 생활을 꾸리는데 바빠 자주 만나지 못하던 가족들과 얼굴을 마주하고 단란한 정을 확인해야 할 명절.

    하지만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갖추지 못하거나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면 '즐거운 명절'이 가정불화로 오히려 '불쾌한 명절'이 된다.

    A 씨는 결혼한지 10년이 넘었지만 한번도 명절에 친정을 방문한 적이 없었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혼자 사시던 아버지가 늘 마음에 걸렸지만 남편은 명절 내내 시댁에만 머물다 집으로 돌아오길 원했다.

    더욱이 남편은 시댁을 방문할 때마다 고향으로 명절을 쇠러 온 친구들과 매번 술을 마시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 시댁 식구들은 A 씨에게 음식 준비나 손님 맞이를 전부 일임한 채 전혀 도와주지도 않았다.

    지난해 추석에도 같은 일이 반복되자 더 이상 끓어오르는 화를 참을 수 없었던 A 씨는 남편에게 이혼을 요구했다. 남편이 "여자가 시집을 왔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대응하면서 갈등의 골은 더 깊어져만 갔고, 결국 이혼위기에 놓였다.

    이렇듯 즐거워야 할 명절이 불화와 갈등의 근원이 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지난 2011년 이혼한 신모(43) 씨와·권모(39·여) 씨도, 시댁 위주의 명절 문화때문에 갈등을 겪었다. 명절을 항상 시댁에서 보내는 바람에 추석 다음날과 설 다음날에 있는 친정아버지의 생신과 할아버지 제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것이 권 씨의 불만이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사소한 오해로 인해 시아버지와 사이가 나빠지자 아내 권 씨는 2009년부터 시댁에 가는 것을 거부했다. 이 일로 두 사람은 명절 때마다 심하게 다퉜고 결국 이혼소송을 냈다.

    (사진=이미지비트 제공)

     

    담당 재판부는 "명절 연휴를 시댁과 친정, 어디서 주로 지낼 것인지 등은 쉽지 않은 문제로 서로 애정과 인내를 갖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등으로 문제를 해결했어야 했다"며 이혼에 대한 두 사람의 책임이 대등하다고 봤다.

    명절에는 재산이나 양가 어른들께 드릴 용돈, 선물 등 금전 문제를 놓고도 갈등이 표출되곤 한다.

    2005년 9월 정모(38·여) 씨는 남편과 추석명절 양가 어른들께 드릴 용돈 문제로 심한 말다툼을 벌였다. 용돈 문제로 심하게 다투던 중 아내 정 씨는 "시집에 가지 않겠다. 그까짓거 안가면 그만"이라며 시댁에 전화를 걸었다. 하지만 남편이 이를 막자 격분해 남편을 손톱으로 할퀴고 주먹으로 마구 쳐 상처를 입혔다.

    한 변호사는 "설이나 추석이 지나면 가족들 사이 폭력이나 재산문제로 법정까지 오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며 "묵은 감정이 폭발하는 경우가 많아 해결이 쉽지 않은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끙끙 묵혀온 불만과 극심한 스트레스는 끔찍한 사건을 불러오기도 했다.

    지난해 3월 김모(21) 씨는 흉기와 수갑 등을 챙겨 작은아버지의 집에 침입한 뒤 할머니와 고모, 작은아버지, 사촌동생들에게 마구 흉기를 휘둘렀다. 김씨가 휘두른 흉기에 맞아 작은아버지가 그 자리에서 쇼크로 숨졌고 다른 가족들도 다쳤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