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자살 사망자 대부분은 스스로 목숨을 끊기 1주일 전쯤 가족 등에게 자살을 암시했지만, 주변인 상당수는 이를 알아채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와 충남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는 24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의 '충남 자살 원인 규명 심리사회적 부검' 결과 보고회를 열었다.
'심리사회적 부검'은 유가족을 비롯한 지인, 담당 수사관, 보건진료소 소장·직원 등을 심층 인터뷰하고, 고인의 유서나 일기 등 개인적 기록과 병원 진료기록 등을 분석해 자살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방법이다.
이번 심리사회적 부검은 지난 2012년 6월부터 유가족의 동의와 관련 기관의 협조를 얻어 진행됐으며, 대상은 2010년 기준 자살 사망률이 높은 도내 4개 시·군에서 유가족이 동의한 자살 사망자 25명이다.
심리사회적 부검 결과, 조사 대상 자살 사망자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기 1주일 전쯤 평소와 다른 언행을 보였다.
52%는 고마움이나 부탁 등 평소 안 하던 말을 하고, 굶거나 포식을 했으며, 폭력을 행사하거나 부모 묘소 참배, 통장 정리·양도, 농약 창고 배회 등 이전과 다른 양상의 행동을 했다.
또 40%는 '먼저 가고 싶다'는 등 죽음을 암시하는 말을 했고, 24%는 의존하던 가족과 떨어지게 된 점을 힘들어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이 같은 행동은 죽음을 알리고자 하는 의도도 있지만 마지막 도움을 요청하는 신호로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자살자의 가족 등 주변인 76%는 자살을 예상하지 못했다.
자살자 7명의 경우 이전에 자살을 시도했거나 직접적으로 자살을 언급했는데도, 주변인들이 이를 알아채지 못했다.
사망 장소는 대부분 자택(84%)이거나 자택 근처 야외(12%), 직장(4%)이고, 최초 시신 발견자는 가족(76%), 지역 주민(16%), 친구(8%) 등으로 나타났다.
자살자들은 자신의 죽음을 숨기려 하기보다는 지인들에 의해 쉽게 발견되기를 소망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은 전언이다.
전문가들은 자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경제적 빈곤으로 인한 박탈감과 좌절감 ▲만성질환 ▲의료·문화시설·문제해결지원 등 자원 부족과 활력 부족 ▲부모-자녀 사이 괴리 ▲고령 노인 소외 ▲정서적 특징 ▲술 문화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