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장성 소방관 "전원 질식사…연기 빠질 곳이 없었다"

사건/사고

    장성 소방관 "전원 질식사…연기 빠질 곳이 없었다"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담양소방서 조하원 계장, 경민대학교 소방학과 이용재 교수

    ◇ 김현정> 오늘 새벽에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관 한 분을 직접 연결해 보죠. 담양 소방서의 조하원 계장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조 계장님, 나와 계십니까?

    ◆ 조하원> 예.

    ◇ 김현정> 지금 현장에 계시는 거죠?

    ◆ 조하원> 예, 그렇습니다.

    ◇ 김현정> 지금 상황은 수습이 좀 된 겁니까?

    ◆ 조하원> 네네, 모든 화재진압이라든가 인명구조라든가 환자 후송까지 다 마치고 유가족과 환자분들 지원을 위해서 군청과 합동으로 업무를 보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지금 사고 뒷수습을 하고 계시는 거군요.

    ◆ 조하원>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불이 난 건 오늘 새벽 0시 30분께인데 불이난 직후에 119에 신고는 바로 들어왔습니까?

    ◆ 조하원> 그렇습니다. 일단은 신고가 바로 들어와서요. 저희가 바로 옆에다 센터가 있습니다. 센터에서 4분만에 도착해서 2분 안에 초기진압을 했습니다.

    ◇ 김현정> 4분 만에 도착을 해서 초기진압이 2분 걸렸다고요?

    ◆ 조하원> 예예….

    ◇ 김현정> 그럼 초기진압이 상당히 빨리됐네요?

    ◆ 조하원>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 얘기는 불이 크지 않았다는 얘기입니까?

    ◆ 조하원> 예, 그렇습니다. 현재 병실로 쓰고 있지 않는 306호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현장 도착할 때는 이렇게 연기가 밖으로 유리창을 통해서 나오고 있는 상태였고요. 그러니까 거기에 인명피해가 큰 이유는, 첫번째 자력 대피가 곤란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있었고요. 그 다음에 잠을 자는 취침시간대, 심야시간 때에 화재가 발생을 했고요. 가장 큰 원인은 침구류라든가 매트리스가 병실로 안 쓰는 306호에 있어서 유독가스가 좀 많이 나왔습니다.

    ◇ 김현정> 불이 난 그 306호에는 안 쓰는 침구류들 매트리스 이런 게 쌓여 있는 창고 같은 곳이었나 보군요?

    ◆ 조하원> 그렇게 다수는 쌓여 있고 자리는 비어 있는 병실이었습니다.

    ◇ 김현정> 지금 초기진압이 2분 만에 됐다고 말씀을 하셨어요. 그런데 2분 만에 불은 껐어도 그 연기, 유독가스는 계속 피어오르는 건가요?

    ◆ 조하원> 그렇죠. 완전히 진화를 할 때까지 연기가 계속 분출되고….

    ◇ 김현정> 그 연기가, 유독가스가 다른 화재현장보다 유독 더 많았습니까?

    ◆ 조하원> 그건 아닙니다만 일단은 병원구조상 연기가 잘 빠지지 않아서 그리고 한 층으로 이렇게 연기가 급격히 뭉쳐져가지고 그 안에 많이 체류된 상태였습니다.

    ◇ 김현정> 다른 데보다 유독가스 양이 많았던 것은 아닌데 창문이 다 닫혀 있었군요. 그리고 밤에 주무시는 어르신들….

    ◆ 조하원>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이분들이 움직여서 창문을 열었으면 좀 나았을 텐데…움직이실 수도 없는 상황이었고…. 그런데 21명의 환자 모두가 전부 질식사했다는게 사실입니까?

    ◆ 조하원> 제가 파악한 바로는 화상환자는 없습니다.

    ◇ 김현정> 모두 다 질식사?

    ◆ 조하원> 예예….

    ◇ 김현정> 아니, 그런데 저는 좀 잘 이해가 안 가는 것이 아무리 병원구조상 연기가 잘 안 빠진다고 해도 아예 창문이 없는 것도 아니고 환기시설이 아주 없는 곳이 아니었을텐데 어떻게 전원이 질식사할 수가 있죠?

    ◆ 조하원> 환자분들이 온전한 사람도 아니고 고령에다가 유독가스 같은 경우 저희 같은 일반인들도 한 두 모금 마시면 정신이 몽롱해지고 쓰러지는 그런 상황까지 옵니다. 연기가 위험하거든요.

    ◇ 김현정> 소방관들도 한 두 모금만 마셔도 그리고 그렇게 힘들다구요?

    ◆ 조하원> 그래서 저희들도 이제 개인장비인 공기호흡기를 착용하고 진화를 한 겁니다.

    ◇ 김현정> 하물며 이 어르신들 몸이 편찮으신 어르신들한테는 그 유독가스가 아주 치명적이었을 거란 말씀이군요?

    ◆ 조하원>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지금 사고 원인은 뭔가 윤곽이 잡힌 건 있습니까?

    ◆ 조하원> 지금 국과수, 경찰, 소방 합동으로 수사를 하고 있습니다.

    화재가 발생한 장성 효사랑병원. (자료사진)

     



    ◇ 김현정> 더 조사를 해 봐야 된다는 말씀…. 분명한 건 사망원인은 분명하다는 점입니다. 전부 다 질식사. 즉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대피를 못했다는 거 이것만은 분명하게 떠오르는 것 같군요. 소방관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현장 수습도 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담양소방서의 계장 한 분, 현장에 출동했던 조하원 소방관을 먼저 연결을 했습니다. 이어서 전문가 연결해 보죠. 경민대학교 소방학과 이용재 교수 연결해 드리겠습니다. 이 교수님.

    ◆ 이용재> 네.

    ◇ 김현정> 지금 저는 제일 궁금한 게 빠르게 불길이 진압이 됐는데 대체 왜 이렇게 피해가 커졌을까 이 부분입니다.

    ◆ 이용재> 왜 그러냐 하면 지금 우리가 파악한 대로 거의 전원이 연기로 인한 질식사인데요. 요양병원 특성상 연기배출이 안 되는 구조로 돼 있습니다. 어렵게 돼 있는 구조고요. 창문이 있기는 있지만 이런 걸로 인해서 통로가 밀폐돼 있고 그래서 어디로도 연기가 빠져나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니까 쉽게 연기가 차고 그로 인해서 질식이 쉬운 상태로…. 특히 거기에 계신 분들이 쉽게 움직이거나 어떤 피난하거나 몸을 좀 낮춘다든지, 정상인 같이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아주 취약하신 분들이기 때문에 짧은 기간이지만 그렇게 많은 사망자가 나왔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지금 연기가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라는 걸 앞 소방관께서도 지적을 하셨고 교수님께서도 지적을 하셨는데 보통 건물처럼 그래도 창문은 다 있는 거 아닌가요.

    ◆ 이용재> 창문이 있다하더라도 이런 노인시설 같은 경우는 추락사사라든지 이런 걸 예방하기 위해서 잠금장치가 돼 있는 경우가 많고요.

    ◇ 김현정> 방범창살 같은 게 다 돼 있다는 거죠. 뜯어도 뜯어도 뜯어지지 않는.

    ◆ 이용재> 네, 그래서 대피가 본질적으로 어렵게 돼 있기 때문에 화재 초기에 소방대원들이 잘 진화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많은 인명피해가 나온 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 층을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가 한 명이 있었다고 그래요. 이 한 명이라는 숫자가 너무 적었던 거 아니냐, 30명 넘는 환자들을 돌보기에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 이용재> 이분들이 건장한 그런 젊은 층이면 문제가 없겠지만 이분들은 고령이구요, 심지어는 저도 많은 요양병원을 다녀봤지만 어떤 돌출행동이나 자해를 막기 위해서 묶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 김현정> 정신질환을 앓고 계시는 분들도 꽤 계시니까 자해행위를 하거나 이럴까봐 침대에 묶어놓는?

    ◆ 이용재> 추락하거나 또 옆의 노인분들에게 위해를 가하는 일들이 많이 있어요. 그러다 보니까 야간에 묶어놓거나 이런 부분이 있는데, 그런 분이 34명이라고 하는데 간호사 1명이 이런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그분들을 빨리 대피시킨다라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얘기죠.

    ◇ 김현정> 불가능한 얘기네요. 그 얘기는 한 명이 아니라 서너 명이 있었다 하더라도….

    ◆ 이용재> 인력이 있다고 하더라도…힘들다는 생각은 돼요.

    ◇ 김현정> 그래서 저는 생각이 되는 게, 이게 인력으로 1:1으로 업고 나오는 상황이 안된다면 다른 차원에서, 이런 병원의 경우는 어떤 다른 식으로 화재를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되는 건 아닌가요?

    ◆ 이용재> 맞습니다. 무조건 이런 경우에 대피가 어렵다고 해서 10명, 20명 인원을 보강하는 것도 한계가 있는 거고요. 그래서 이런 상황에 있을 때는 얼마만큼 빨리 환자들에게 통보를 하고 빨리 대피시키고 또는 연기가 빨리 빠질 수 있게 하고 이런 것들이 인명피해를 줄이는, 대응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대책인데 여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많은 노인 관련 시설들이 그런 부분에는 굉장히 좀 어떤 과학적인 대처시스템같은 부분은 특별히 없는 상태입니다.

    ◇ 김현정> 거기다가 연기, 유독가스가 이렇게 심했다는 얘기를 듣는 순간 떠오르는 것이, 과거 많은 화재 현장에서 문제가 됐던 샌드위치 패널. 그게 아닐까라는 생각이들었는데 어떻게 보세요? {RELNEWS:right}

    ◆ 이용재> 물론 현장을 가보지 않았기 때문에 자재를 어떤 것을 썼는지 섣부른 판단을 하기는 어렵고요. 현재 이렇게 사진 같은 것으로 판단을 해 보면 특별히 요양병원이라고 해서 어떤 화재에 대비해서 내장재를 어떻게 쓰라고 확실하게 돼 있는 것은 없습니다.

    ◇ 김현정> 그 부분이 중요하겠군요. 조사를 좀 해 봐야겠군요.

    ◆ 이용재> 결국 진화를 빨리 잘했는데도 불구하고 내자재라든지 거기에 있었던 발화점이라고 하는 창고 부분에서 가연재가 많았고 그 다량의 연기가 빠른 시간에 전파가 됐기 때문에 큰 피해를 가져왔다라는 얘기거든요. 그런 측면에서 차후에라도 이런 노인, 요양시설 같은 데 있어서는 그런 내장재 부분까지도 구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 김현정> 사고 원인은 더 조사를 해봐야겠지만 이번에도 막을 수 있던 인재가 아닌가라는 그런 아쉬움이 남습니다. 여기까지 들어보죠. 고맙습니다. 지금까지 장성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화재의 사건 속보 전해 드렸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