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홍콩 시위, 미·중 갈등으로 비화하나

  • 2014-10-02 10:50

설전 양상, 중국의 강경 대응 여부가 변수

 

홍콩의 민주화 시위 사태가 세계 주요 2개국(G-2)인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 양상으로까지 번질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일단 미·중 양국의 외교수장이 양자 회동에서 이 사태를 둘러싸고 정반대의 견해를 밝히며 충돌한 것이다.

존 케리 장관은 1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방중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에게 홍콩 시민의 보편적인 참정권을 지지한다며 시위대의 표현 자유 존중을 홍콩 당국에 촉구했다.

이에 왕 부장은 "홍콩 문제는 중국의 내부문제"라며 내정간섭을 하지 말라는 뜻을 분명히 밝히면서 "모든 국가는 중국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며 미국 측에 자국 주권의 존중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이 홍콩 시위대의 주장과 시위에 적극적인 지지의사를 밝히며 중국 측을 압박하는 가운데 중국은 시위대의 주장과 미국의 동조를 한꺼번에 일축하며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나선 것이다.

미국은 사태 초기부터 백악관 등이 직접 나서 중국을 압박하며 시위대를 지지한다는 견해를 밝히며 적극적인 '관여' 의사를 보여왔다.

일부 러시아 언론은 이를 두고 미국이 홍콩의 민주화 시위 배후에서 조종하고 있다는 음모론까지 제기했다.

중국 내부에서도 이번 시위 사태를 서방이 부추겨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지난달 30일 서방을 향해 "관련국들은 언행에 신중을 기함으로써 중국 내부의 일에 개입·간섭하거나 홍콩 내의 불법활동을 지지·종용하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한 데서도 이런 기류를 읽을 수 있다.

아직은 미·중 양국 간 설전에 그치고 있지만, 이번 사태가 어떤 상황으로 전개될지에 따라 미·중 관계의 전반으로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양국 관계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겸한 방중을 계기로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상황이었다.

이번 회담은 앞으로의 양국 관계 방향을 제시하면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CADIZ) 선포와 동·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사이버 해킹, 아시아 재균형을 통한 미국의 대중 견제 등을 둘러싼 갈등을 봉합하는 쪽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홍콩 시위에 강경 대응 쪽으로 선회해 자칫 유혈 사태라도 난다면 양국 관계는 홍콩 변수 때문에 상당기간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중국의 강경조치를 비난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고 심하면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 때처럼 중국에 대한 제재까지 취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된다면 중국의 현재 국력은 1989년의 중국의 그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미국에 '맞불작전'으로 나올 공산도 있다.

이렇게 되면 미·중 양자관계 갈등은 물론 양국을 빼놓고 이야기하기 어려운 국제적인 핫이슈에 대한 협력과 논의는 상당기간 발목을 잡힐 것으로 보인다.

이번 홍콩의 민주화 시위는 그 자체로도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아울러 이 사태는 앞으로 미·중 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전개 추이가 주목된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