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1월 8일 자 신문.
지상파 광고 총량제 실시를 놓고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종편)의 갈등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먼저 포문을 연 곳은 TV조선을 계열사로 둔 조선일보다. 하지만 KBS와 MBC, SBS 등 지상파 3사 역시 공조해 강력 대응한다는 방침이어서 앞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조선일보는 8일 ‘[자구 노력없이 安住하는 지상파] 지상파, 도박하듯 경영…825억에 생 중계權, 광고매출 490억에 그쳐’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지상파의 적자는 방만한 경영으로 인한 것인데, 정부가 ‘광고 총량제’를 도입해 이를 ‘뒷수습’ 해주려 한다는 내용이었다.
특히 지상파가 스포츠 중계권(월드컵, 올림픽, 메이저리그 등)을 확보하기 위한 무분별한 투자와 불투명한 회계, 고령화된 인련 구조 등 부실요소를 없애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 문제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의 이러한 지상파 때리기는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말에도 ‘광고 총량제는 방송통신위의 편파 판정’이라는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한국미디어경영학회장)의 칼럼을 싣기도 했다.
지상파 3사는 조선일보의 기사라 더 황당하다면서도, 이제는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지상파3사 관계자들은 이날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부로부터 특혜를 받고 있는 ‘TV조선’의 대주주인 조선일보가 오히려 ‘광고총량제’를 놓고 ‘특혜’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황당하다고 반응했다.
실제로 종편 등의 유료방송사업자는 중간 광고, 편성도 거의 제약 없이 하고 방송통신발전기금도 유예 받는 등 여러 특혜를 누리고 있다.
SBS 관계자는 “광고 부분에 대한 이슈가 나올 때마다 종편에 영향 미칠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인지 이처럼 몰아가는 부분이 있다”고 했다.
KBS 관계자 역시 “조선일보가 지적한 방만 경영 사례는 지난해 3월 감사원 감사결과에서 나왔던 이야기를 또다시 쓴 것이다. 이미 기사화가 됐던 것들이고 수없이 반론을 냈다“며 다시 이를 인용하는 것에 대해 불쾌하다는 반응을 드러냈다.
결국 지상파 광고총량제가 종편에 위협이 될 것 같으니 나오는 억지 기사라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지상파 3사는 조선일보 기사에 대해 공동으로 강력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MBC 관계자는 “방송 3사가 공동보조를 취하기로 협의 중인 것으로 들었다”면서 “공식 입장은 논의를 마치는 대로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윤성옥 경기대 교수(언론미디어학과는 “지상파는 별도의 유료 방송도 아니고 광고와 수신료를 재원으로 공적 책무를 수행해야 한다”면서 “‘무조건 안 된다’가 아니라 지상파가 시청자를 위한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재원이 마련되는 상황인지를 봐야 한다”고 했다.
이어 “방송통신위원회가 발간한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만 봐도 지상파의 광고 재원이 줄어드는 것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조선일보가 지적한 지상파의 방만 경영에 대해서는 하루이틀 문제도 아니고 고쳐나가야 할 부분은 맞으나 “광고총량제와는 별개의 문제”라며 선을 분명하게 그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신문방송학과)는 "광고 총량제 자체를 공익적인 측면에서 찬성하기는 어렵다"면서도 "그렇다고 조선일보의 논조가 옳은 것은 아니다"고 했다. {RELNEWS:right}
그는 광고 총량제에 대해 "시청자 관점에서는 한 프로그램에 광고가 많이 붙게 되는 거고, 매체 간 경쟁력에 따라 광고가 (한쪽으로) 쏠릴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조선일보의 기사에 대해서는 "정부의 언론 장악으로 지상파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지상파가 광고 매출 등에서 어려워진 것은 정부가 무분별하게 종편 등의 방송사를 허용하면서 부터다"면서 "(지상파의 광고 매출 하락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생긴 현상이라기보다 정부의 정책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일보가 지상파에 특혜를 주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은 현실 해석에 대한 왜곡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