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형 기자일반적으로 매출증가율이 1%p 상승하면 고용증가율은 0.29%p 정도 증가한다.
한국은행이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기업활동조사자료를 토대로 50인 이상 기업의 고용과 성장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그런데 이 기간 사이를 좀 나눠보면 얘기는 또 달라진다.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의 고용증가율이 0.31%p 상승이었다면 2017년에서 2019년 사이에는 0.27%p 증가로 증가폭이 줄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런 결과는 매출증가의 고용창출력 약화도 반영하지만 매출감소에 따른 고용둔화의 감소 가능성도 함께 내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출이 늘어도 전처럼 사람을 더 뽑지 않고 대신 매출이 감소해도 사람을 전처럼 줄이지는 않는다는 뜻이 된다.
한국은행은 이와같은 매출증감에 따른 고용민감도 하락은 매출이 증가한 300인 이상 제조업과 300인 미만 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특히 서비스업 300인 미만 기업은 매출증가에 따른 고용민감도가 0.28%에서 0.13%p로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는데 이는 경쟁심화에 따른 가격결정력 약화에 상당부분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서비스업. 연합뉴스경쟁이 심화돼 기업의 가격결정력이 약화되면 비용이 가격으로 전가되기 어려워 매출원가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특히 숙박음식업, 정보통신, 사업시설, 부동산업 등의 고용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한은은 분석하고 있다.
특히 매출이 대폭 증가한 300인 미만 서비스업의 고용 민감도는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한국은행 분석 결과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서비스업의 고용 창출은 주로 신생기업에 의해 주도 되는데 2014년 업력 10년 미만 기업 비중이 12.3% 였지만 2019년에는 6.9%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신생 서비스업 비중이 낮아졌기 때문에 그만큼 고용창출이 덜 일어났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이런 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 저하를 방지하려면 기업들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R&D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며 전체 R&D 중 서비스업의 지출 비중이 미국은 2018년 34.1%인 반면 우리나라는 9.1%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여기다 혁신과 고용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한 기업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업의 혁신활동이 고용친화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한은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