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업개발 신축 아파트 붕괴 사고 현장. 광주시소방본부 제공현대산업개발 신축 아파트 붕괴 사고를 수사 중인 경찰이 현대산업개발 전 현장소장 등을 추가로 입건했다.
경찰은 '설계보다 큰 하중에 의한 연쇄 붕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는 전문기관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련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광주경찰청 수사본부는 업무상 과실 치사상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등의 혐의로 현대산업개발 전 현장소장 A씨, 하청업체 B법인, 펌프카 업체 대표 C씨 등 관계자 3명을 추가로 입건했다고 22일 밝혔다.
현대산업개발 전 현장소장 A 씨는 지난 1월 초까지 현장을 관리해오면서 부실한 시공으로 건물 붕괴의 원인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철큰콘크리트 시공업체인 B법인은 불법 재하도급 혐의를, 펌프카 업체 대표 C씨는 하도급에 따라 전문 건설업 면허 등이 있어야 함에도 자격이 없이 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로써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와 관련해 경찰에 입건된 이들은 현대산업개발 관계자 7명, 하청업체 관계자 6명, 감리 3명 등 총 16명(1명 중복 입건)으로 늘어났다.
경찰은 부실시공을 뒷받침하는 전문기관의 의견도 확보했다.
한국건설품질연구원(KCQR)은 설계보다 큰 하중에 연쇄 붕괴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 보고서를 지난 21일 경찰에 전달했다.
이 보고서에는 경찰이 사고의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는 지지대 철거와 역보 무단설치 등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이성민 부원장은 붕괴사고가 시작된 39층에서의 하중이 4천98 kgf/㎡ 발생했지만, 버틸 수 있는 하중은 2천8 kgf/㎡에 불과했다고 분석했다.
공법이 변경되고 구조물이 추가로 설치 됐음에도 안전장치인 지지대가 철거되는 등 큰 하중에 보완장치는 검토되지 않아 연쇄적으로 건물이 무너졌다는 분석이다.
이 부원장은 붕괴 당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뤄진 39층의 경우 높낮이가 다르게 설계돼 낮은 곳으로 하중이 몰려 붕괴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경찰에 의견을 전달했다.
특히 하부 층에 지지대가 설치돼 있었다면 연쇄 붕괴로까지 이어지지는 않았을 것으로도 분석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바로 아래 3개 층에 지지대가 설치되지 않아 결국 연쇄 붕괴로 이어졌다.
경찰은 조만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과 건설사고조사위원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이 추가로 분석 자료를 보내오면 이를 검토해 피의자들의 신병처리를 진행할 계획이다.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한 분석 결과도 조만간 나올 예정이어서 붕괴원인에 대한 과학적 증명이 보다 상세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전문기관의 분석자료, 피의자 및 참고인 진술,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증거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살핀 뒤 책임이 무겁다고 판단되는 일부 피의자들에 대해서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붕괴 원인에 대한 과학적 검증 단계를 진행하고 있고, 책임자 규명을 위한 수사를 보다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월 11일 오후 3시 47분쯤 광주 서구 화정동 현대아이파크 신축 공사 현장 39층 옥상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던 중 23~38층 외벽과 구조물이 붕괴돼 현장 노동자 6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을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