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이태원관광특구연합회 등 단체 관계자들이 23일 서울 이태원역 앞에서 희생자의 온전한 추모와 피해자 지원을 위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핼러윈 참사' 유가족과 이태원 상인, 시민·사회단체가 이태원역 1번 출구 일대를 공식 추모 공간으로 만들어달라며 대책을 촉구했다.
23일 오전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 이태원 관광특구연합회는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태원역 1번 출구를 희생자들을 온전히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추모 물품을 영구적으로 보관하거나 유가족이 머물 수 있는 공식 추모공간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참사 희생자와 생존자, 구조자에 대한 심리·생계지원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조치가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3일 핼러윈 참사 골목에 붙어있는 포스트잇을 바라보는 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이종철 대표. 허지원 기자이날 이태원역 1번 출구로 올라오는 계단 벽에는 추모 메시지가 쓰인 포스트잇들이 붙어있었지만 꽃과 추모 물품이 쌓여있던 바깥은 전날 1차 재단장으로 정돈된 모습이었다. 그간 이태원역 1번 출구 일대 추모공간을 보존해온 시민자율봉사위원회 봉사자들은 "유가족협의회도 생기고 49재도 지나 지역 상권 회복과 국민 화합을 기대하며 참사 현장 추모 공간에 대한 자원봉사 책무를 공식적으로 마친다"고 전날(22일) 활동 종료를 했다.
유가족협의회 이정민 부대표는 "시민들이 보내주신 메시지를 하나하나 읽을 때마다 우리 아이들과 가족들을 기억해주시는 마음이 느껴진다"며 "유가족협의회는 상인들, 시민단체들과 함께 모두가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애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이 사랑했던 이태원 거리가 앞으로도 계속 사랑받길 바란다"며 "지역 상인들은 우리 유가족과 같은 참사의 피해자로서 심리·생계 지원이 절실하지만 방치돼있어 함께 이들에 대한 대책과 조치 마련에 목소리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23일 핼러윈 참사 골목에서 희생자들의 온전한 추모를 위한 재단장이 진행되고 있다. 허지원 기자관광특구연합회 배광재 총무는 "떠난 이들의 마지막을 목격하고 다음날을 살아야 하는 지역 주민들의 삶의 고통을 공감해 주셔서 감사하다"며 "유가족과 이태원 주민 및 상인들이 바라는 건 10월 29일에 대한 고통을 딛고 안전한 이태원이 되는 일"이라고 전했다.
이들 단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참사 피해 지원 및 갈등 중재 노력이 부족했다며 이태원역 인근 주민과 상인들에 대한 심리·생계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자캐오 신부는 "도의적·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같은 이들이 제대로 책임지고 물러나고 희생자와 유족, 지역 상인과 주민, 생존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이고 제대로 된 피해 지원을 해야 한다"며 "이런 자리를 앞장서서 만들고 갈등을 조정해야 할 행안부와 서울시, 용산구청은 여기 모인 세 주체가 어렵게 만나 서로를 보듬고 오는 동안 책임 면피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23일 핼러윈 참사 골목에서 희생자들의 온전한 추모를 위한 재단장이 진행되고 있다. 허지원 기자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 박성현 활동가는 "어느 누구도 신경 쓰지 않아 자원봉사 시민들의 손길로 유지된 이태원역 1번 출구와 참사 현장을 참사의 피해자인 이태원 상인들이 함께 돌보겠다고 결심했다"며 "공공기관은 발걸음 끊긴 지역과 상가를 겨우 지키고 있는 상인들에게 기존에 있는 대출 제도를 모아 공지하는 것을 넘어 삶이 더는 상하지 않도록 살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후 이들은 참사 발생 장소인 해밀톤호텔 골목 정돈 작업에 들어갔다. 유족과 상인 등은 호텔 가벽에 붙은 추모 메시지를 하나씩 읽고 물품을 상자에 나눠 담았다. 추모 메시지와 물품은 유가족 법률대리인인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사무실 등에 임시 보관하는 한편 영구 보존이 어려운 꽃다발 등은 오는 28일 조계종에서 소각해 수목장 형식으로 처리할 예정이다.
한편 10·29이태원참사시민대책위원회 진상규명 시민참여위원회는 이날 오전 10시 서울 정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용산구에 대한 철저한 현장조사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