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교섭' 임순례 감독.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스포일러 주의
배우 황정민의 첫 장편 주연작이자 '세 친구'의 주인공들이 어른이 되었다면 어떤 모습일지 20년을 가로지르는 친구들의 모습을 그려낸 '와이키키 브라더스'. 여성 주연은 물론 스포츠 영화는 더더욱 안 된다는 통념을 깨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명승부를 펼친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의 실화를 통해 감동을 보여준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사계의 변화 속 자연에서 얻는 한 끼의 소중함과 속도전과 경쟁에서 벗어난 성찰과 힐링을 보여준 '리틀 포레스트'.
우리가 알고 있는 임순례 감독은 이른바 '상업성'이라는 틀 바깥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만의 색깔로 그려낸 감독이다. 장르도 소재도 다 다른 감독의 영화들이 공통점은 새로운 도전과 시도, 그 뒤의 뚝심, 그리고 인간애였다. 임 감독은 상업영화의 틀 안으로 들어와서도 자신의 철학을 놓치지 않았다.
지난 1996년 '세친구'로 데뷔해 지금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임 감독은 한국 영화 최초 100억 원대 대작 영화를 연출한 감독이라는 수식어를 더하게 됐다. 과연 자신의 영화 색과 상업영화의 색 안에서 어떤 균형을 찾아 나갔는지, 그리고 '한국 여성 최초'라는 새로운 수식어가 가진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관해 조금 더 이야기를 들어봤다.
영화 '교섭' 스틸컷.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비상업적 정서와 상업성 사이에서 균형을 찾다
▷ 그동안 사실 상업영화와는 거리가 멀었다. 이번에 연출을 하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것과 대작 영화에 요구되는 상업성 사이에서 고민되는 지점은 없었을지 궁금하다.
임순례 감독(이하 임) : 많았다. 늘 그랬지만 내가 표현하고 싶은 건 항상 비상업적이었다. 약간 무겁거나 진지하거나 비상업적인 게 내 기본적인 정서다. 그것과 되게 큰 예산이 들어간 영화의 결과라고 하는 그사이에서의 고민과 균형점, 최저 지점, 밸런스를 찾아내는 게 굉장히 힘들고도 어려운 작업이었다. 내가 무조건 다 자본에 양보했다.(웃음) ▷ '교섭'은 국내 여성 첫 블록버스터라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임 : 나한테는 사실 큰 의미 없는데, 개봉 때가 되니까 의미가 크게 다가온다.(웃음) 돈을 많이 들였는데, 여성 감독에게 큰돈을 맡겼는데 잘 됐다고 하는 것과 역시 안 됐다고 하는 것은 다르다. 안 됐다고 하면 피해가 나만이 아니라 나중에 후배 여성 감독에게도 갈 수 있으니 더 잘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영화 '교섭' 비하인드 스틸컷.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 지난 1996년 '세친구'로 데뷔한 후 지금까지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감독으로서 가진 본인만의 장점 내지 무기는 뭐라고 생각하나?
임 : 그러니까 말이다.(웃음) 어떻게 보면 긴 시간이다. 26년 정도 됐으니까. 그동안 영화마다 소재도 다르고, 형식과 결도 다른 작품을 연출했다. 바로 '리틀 포레스트'와 지금 '교섭'은 같은 감독이 맞나 할 정도로 굉장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객이 인정하시는지 안 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세친구'부터 '교섭'까지 소재나 스타일, 예산 스케일 다 다르지만 뭔가 관통하는 게 있다고 하면 한국 사회에 대한 관심이어도 좋고 애정이어도 좋다. 동시대를 사는 사람에 대한 연민 내지 관심, 이런 것들이 쭉 관통하면서 관객들도 그런 부분을 인정하고 좋아해 주시지 않나 싶다. 그래서 근근이 이어가고 있는 거 아닌가 싶고.
나도 초창기 '세친구'나 '와이키키 브러더스'만 해도 감독으로서 '영화는 이렇게 만들어야 해'라는, 좋은 말로 작가적 고집이고, 나쁜 말로 하면 자기 틀 안 영화에 대한 생각이 고착화되어 있었다.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2008) 이후부터는 그런 부분에 있어서 조금 열려 있다고 해야 하나. 어느 소재가 됐건, 어느 조건이 됐건, 그 시대 관객이 원하는 것에 조금 같이 발걸음하고 싶다.
영화 '교섭' 임순례 감독.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재능 있는 여성 영화인에게 필요한 건 무대의 확장
▷ 감독 데뷔 시절만 해도 여성 감독은 물론 여성 스태프조차 흔치 않았던 시기다. 그때와 비교하면 지금은 어떤 점에서 변화했다고 보는지 이야기를 듣고 싶다.
임 : 내가 1993년에 스크립터를 했었다. 딱 30년 전이다. 그때는 연출부 안에서도 스크립터는 여성이 해야 한다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있었다. 여성은 꼼꼼하다는 건데, 안 그런 여자가 많다. 나도 그렇고. 전체 스태프 중 여성은 스크립터 한 명뿐이고, 그때는 의상이나 분장도 남자가 많았다. 전체 스태프가 30~40명이라고 하면 여자는 3~4명 정도?
지금은 스태프의 성비가 웬만하면 50% 되는 거 같다. 어떤 영화는 60% 정도로 여성이 더 많은 경우도 있다. 젠더적인 구성에 있어서 그게 굉장히 달라진 점이다. 그리고 10년 전부터 독립 영화계나 대학 영화과 졸업 작품을 보면 여학생이나 여성 감독이 정말 좋은 작품을 많이 하고 있다. 정말 뛰어나다.영화 '교섭' 스틸컷.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 뛰어난 여성 영화인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지만 아직 활동 범위에는 제약이 있는 것 같다.
임 : 그들이 산업으로 들어오는 확률과 비중이 너무 뚝 떨어지더라.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투자와 배급 시스템의 문제가 크다고 본다. 보통 여성 감독이 장르,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보다 자기 주변의 일상, 작은 이야기를 하는데 그런 영화는 배급되어 일정 관객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 산업으로 흡수된다 해도 큰 예산이나 상업적인 부분보다 중·저예산 연출을 하는 게 대부분이다. 지금 시대에는 재능 있는 여성 감독이 자기 재능을 꽃피우지 못하는 게 더 큰 문제라 생각한다.
투자·배급이 여성에게 더 길을 열어줘야 하는 거 아닌가 싶다. '교섭'이 여성 최초 100억 원대 대작 영화 연출작이라고 하는데, 이런 이야기가 있는 만큼 영화가 잘 됐으면 좋겠다. 이 영화가 본격 액션 영화는 아니지만 큰 규모 영화를 여성도 잘 할 수 있고, 어떤 장르의 영화라도 수용할 수 있다는 데 조금이라도 일조하면 좋겠다. 상업영화에서 자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여성 감독이 꽤 많아졌지만, 조금 더 메이저 산업으로 더 들어와야 한다. 다양성과 재능이 한국 영화를 풍요롭게 할 거라 생각한다.영화 '교섭' 비하인드 스틸컷.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 매번 다양한 결의 많은 작품을 선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찍어보고 싶은 장르나 이야기의 영화가 있을까?
임 : 다음에도 기회가 있으면 장르적으로나 상업적으로 더 들어갈 수 있는 영화도 찍어보고 싶단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고 하지만 나는 내가 하고 싶은 영화와 자본과 관객이 원하는 영화 사이 갭이 큰 감독이다. 작은 예산을 갖고 내가 하고 싶은 영화 해보고 싶은 욕심도 있고, 장르적으로나 상업적으로 관객에게 사랑받는 영화도 하고 싶다. 어느 것도 포기하지 않고 기회가 되면 이런저런 영화를 다양하게 만들어보고 싶다.(웃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