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웹툰작가 10명 중 6명 "수수료 덜 떼는 플랫폼 직계약 선호"



미디어

    웹툰작가 10명 중 6명 "수수료 덜 떼는 플랫폼 직계약 선호"

    네이버웹툰 제공 네이버웹툰 제공 웹툰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며 스튜디오나 에이전시 역할을 하는 콘텐츠제작사(CP) 등이 급증하고 있지만, 웹툰 창작자들은 투명한 수익 정산과 합리적인 수수료율 등을 이유로 네이버·카카오 등 웹툰 플랫폼과 직접 계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곽규태 순천향대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는 11일 서울 중구 정도 1928 아트센터에서 열린 '창작자가 바라보는 웹툰 플랫폼의 역할과 가치' 세미나에서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중복 응답) 전문 창작자의 66%가 네이버웹툰과 카카오웹툰 연재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창작자들의 59.2%는 플랫폼과 직접 연재 계약을 선호했고, 직계약 창작자들의 82.9%가 플랫폼과의 직접 계약 체결을 선호했다. 에이전시·프로덕션·스튜디오 등과의 연재 계약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8.3%, 스튜디오·프로덕션 근로 계약을 원한다는 경우는 8.9%에 그쳤다.

    플랫폼 직접 계약 선호 이유로 전체 응답자의 64%가 웹툰 플랫폼이 제공하는 합리적인 수수료율을 꼽았다. 투명한 수익 정산(59%), 업계 내 평판 및 주변 사람들의 인정(46%), 플랫폼이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모션 혜택(36%) 등이 뒤를 이었다.

    곽 교수는 "플랫폼과 직접 계약하는 이점으로는 수수료율과 수익 정산이 꼽혔지만 창작 활동을 도와주거나 글로벌 진출 등은 (상대적으로) 큰 의미는 없었다"고 말했다.

    웹툰 플랫폼 선호도 조사에서 네이버웹툰과 네이버시리즈 등 네이버 계열 플랫폼(74.7%),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웹툰 등 카카오 계열 플랫폼(16.7%), 기타(5.8%), 레진코믹스(2.8%) 순으로 높았다. 특히 아마추어 창작자들의 네이버 계열 플랫폼 선호도는 84.2%로 높았다.

    반면 네이버웹툰·카카오웹툰 모두 마케팅·홍보 활동, 아마추어 작가 지원, IP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한편 웹툰 창작자의 평균 연령은 31.8세로 월평균 소득은 540만원에 육박했다. 전업 작가는 전체의 40.4%에 그쳤지만 전문 창작자 가운데 전업 작가는 66.5%였다.

    설문조사는 3년 이내 국내 웹툰 플랫폼에 한 편 이상의 작품을 연재한 웹툰 창작자 360명(아마추어 작가 202명, 전문 작가 158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경제포럼과 연세대 정보대학원 BK21이 공동개최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