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스, 포로 처형 예고 vs 이스라엘, 지상군 초읽기
피투성이로 끌려가는 이스라엘 민간인. 연합뉴스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교전에서 양측에 1500명 달하는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하마스는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 폭격이 계속될 경우 민간인 포로를 처형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전면 포위하고 지상군 투입을 목전에 두고 있지만, 가자지구에는 150명 정도의 인질이 붙잡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부담이 적지 않습니다.
아랍권 반발과 그 여파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란이나 이란의 지원을 받는 중동 지역 무장 세력들이 분쟁에 가담하면 5차 중동 전쟁으로 번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란의 지원을 받는 하마스가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두고 이스라엘에 대한 기습 공격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중동의 화약고'로 불리는 가자지구는 하마스가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한 뒤 이스라엘의 봉쇄로 17년째 고립된 상태였습니다.
최근 이스라엘이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 정상화에 속도를 내면서 이슬람 국가들의 지원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여기에 하마스의 배후에 이란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 시아파를 대표하는 이란은 이스라엘과 함께,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와 앙숙 관계죠.
'중동 데탕트' 무드에 이번 사태가 상당한 제동을 걸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이란 정부는 배후설, 공격 승인설을 공식적으로 부인했습니다.
미국은 항모전단 이동 배치 등을 했지만, "이란 개입의 증거를 갖고 있지 않다"고 신중한 입장입니다. 중동의 안정화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 정책, 우크라이나 지원이라는 두 개의 전선에서 고민이 깊어 보입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정상은 "하마스 테러를 규탄한다"는 성명을 냈습니다.
국제유가 4% 급등…달러·금 강세
연합뉴스국제유가는 약 4% 급등했습니다. 이란과 사우디 등 다른 산유국들의 개입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겁니다. 달러와 금 등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뉴욕증시는 장 초반 하락세를 보였지만 오름세로 돌아선 후 상승 마감했습니다.
오늘부터 국정감사…정국 주도권 전면전
행정안전부 관계자들이 지난 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등의 국정감사를 하루 앞두고 막바지 준비 작업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21대 국회의 마지막 국정감사가 오늘 막을 올립니다.
국민의힘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통계 조작 의혹, 탈원전 및 이권 카르텔 의혹 등을 조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 등으로 맞붙습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정국 주도권 힘겨루기와 존재감 발휘를 위한 여야의 극한 대치가 예상됩니다.
"수입 수산물 안전" 쇼츠에 공들인 식약처
연합뉴스CBS 취재 결과, 우리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수입수산물 안전 홍보에 기존 예산의 5배를 끌어다 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올해 식약처 예산 편성 및 집행내역에 따르면, 당초 수산물 안전관리 홍보영상 제작에는 1100만원이 편성됐지만 실제로는 5배 가까운 5200여만원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는데요.
실질적으로 필요한 안전강화 대책보다는 부정적 여론을 잠재우는 데만 급급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식약처는 이에 대해 큰 틀에서 세부내역을 조정한 것일 뿐, 부적정한 예산 전용은 아니라며 문제 될 게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반도체, 中 리스크 걷어내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 별도 허가 절차나 기간 제한 없이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공급하겠다고 결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반도체 공장은 미국 수출관리 규정상 '검증된 최종사용자'로 지정되고, 이 경우 미국산 반도체 장비 수입 시 별도로 건별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게 됐습니다.
이번 조치로 중국 공장 운영에 불확실성이 걷힌 우리 반도체 업계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노벨경제학상은 '여성과 노동' 연구에
美 여성 노동경제학자 클로디아 골딘, 노벨 경제학상 수상. 연합뉴스올해 노벨 경제학상의 영예는 여성과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도와 임금 수준 등에 차이가 있는 이유를 규명한 미국의 저명한 노동경제학자 클로디아 골딘(77·여) 하버드 대학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