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화북공업지역. 카카오맵 로드뷰 캡처제주시 화북공업지역을 도심 외곽으로 이전하는 계획이 사실상 무산되고 해당 지역을 미래전략산업단지로 정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화북공업지역의 체계적 관리와 활성화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착수해 미래전략산업 유치를 위한 종합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계획에는 주민 갈등의 원인이었던 주거환경 저해시설의 신규 입지를 제한하고 미개발 유휴부지에는 미래전략산업을 유치하는 방안이 담긴다.
앞으로 화북공역지역에는 심각한 소음이나 오염물질을 유발하는 공업시설이 입주할 수 없고 개별적으로 이전하거나 비어있는 공간에는 미래전략산업을 유치해 융복합거점구축 지역으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도시계획전문가와 지역주민, 입주기업,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워킹그룹을 운영해 화북공업지역 관리와 활성화 방안, 미래전략산업 업종 등을 발굴하기로 했다.
협업할 제주도청 부서로는 혁신산업국, 경제활력국, 건설주택국, 교통항공국, 기후환경국, 문화체육교육국이 선정됐다.
제주도는 화북과 토평 등 도내 공업지역 8곳에 대한 기본계획이 마무리되면 산업혁신형 정비구역 지정 등을 통해 화북공업지역의 새로운 변화가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화북공업지역을 도심 외곽으로 이전하려던 계획은 사실상 무산됐다.
제주도는 지난해 2월부터 용역을 통해 6개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고 해당 마을에서 주민의견 수렴에 나섰다.
교통여건과 주민 수용성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를 1순위, 구좌읍 덕천리를 2순위 후보지로 결정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5월 조천리에서 추진된 주민설명회는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열리지 못했다.
또 지난해 11월 덕천리 마을에서 주민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설명회를 개최했지만 설명회 이후 상동주민을 중심으로 반대대책위원회가 구성되는 등 마을 내부 갈등이 심화됐다.
제주도는 1,2 순위 후보지에서 주민 동의를 받지 못하자 화북공업지역을 이전하는 계획은 장기과제로 남겨 두기로 했다.
제주도는 화북공업지역 입주기업의 대체입지 선정과 관련해 주민수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부득이하게 장기과제로 검토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밝혔다.
결국 화북공업지역에 미래전략산업을 유치해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제주도 방침이 발표되면서 화북공업지역을 도심외곽으로 이전하려던 계획은 사실상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