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석 대한의사협회 부회장 겸 서울시의사회 회장(왼쪽)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의대 정원 문제와 관련해 면담한 뒤 나와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오른쪽은 인요한 국민의힘 의원. 연합뉴스당정이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게 타당하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0일 국회에서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비공개 회동을 갖고 의·정 갈등 관련 의료계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는 의협 황규석 부회장 겸 서울시의사회장과 의사 출신인 같은 당 인요한 의원이 참여했다. 인 의원은 이번 만남을 물밑에서 주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 비대위원장은 약 40분간 진행된 면담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여당)는 주로 듣는 자리였다. 지금 의협이 생각하는 의정 갈등에서의 쟁점들이 뭔지 상세히 이야기를 해줬다"며 "앞으로 계속 더 논의를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도 이 상황을 풀어나가는 데 역할을 할 생각"이라며 "(그러기 위해선) 우선 좀 많이 알아야 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현재 의료계 내에서도 개원의와 전공의, 교수 등 직역별로 대책 관련 의견이 갈리다 보니, 이를 전반적으로 경청하는 시간이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권 비대위원장은 "예를 들어 서울시의사회 같은 경우는 전체 의협과 또 다른 시각을 가질 수도 있지 않겠나"라며 "(의대)정원부터 시작해서 모든 쟁점에 대해 다 얘기를 했다"고 부연했다.
다만,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서로의 카드를 꺼내 협상하고 조율하는 자리는 아니었다는 취지다.
황 부회장도 어떤 논의가 오갔는지 묻는 취재진 질문에 "의료계 상황을 있는 그대로 전달했다. 소통하는 자리였다"고만 답변했다.
앞서 교육부는 작년 2월 정부가 '의대 2천 명 증원'을 발표한 후 강의실을 떠난 의대생들이 이달 중 복귀하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시행 이전인 3058명 수준으로 동결하겠다는 내용의 '2025학년도 의학교육 지원방안'을 지난 7일 발표한 바 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보다 하루 앞선 지난 6일 "국민의힘은 의대의 교육 정상화가 시급하다 보고, 의대 학장들의 건의 내용이 현실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했다"며 '의대정원 원점 복귀'에 힘을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