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전경. LX공사 제공한국 기업들의 몽골 진출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가 몽골의 주소 정보를 현대화하는 사업을 진행한다.
LX공사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2024년 공공협력사업 통합 공모'에서 몽골 주소정보 현대화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효율적인 도로명 주소 체계가 필요한 몽골 정부가 다양한 선진국 사례를 검토한 결과, 최종적으로 한국의 주소체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몽골의 이번 사업의 추진 배경은 몽골의 생활공간이 도시와 농촌, 유목 등으로 다양함과 동시에 수도 울란바토르의 과밀화다.
LX공사는 총 3년 10개월 동안 △주소정보 시스템고도화 △주소정보 DB구축 △게르(Ger·이동식 천막) 지역 무단점유지 현황 조사 △길안내 공공서비스 시스템 구축 △역량강화 교육 등 몽골의 주소체계 고도화와 토지, 도로정보 재정비를 실시한다.
이번 K-주소체계 도입을 위한 제안액은 110억 원 규모다.
LX공사는 지난해 행정안전부와 협력해 몽골 주소정보 현대화 사업을 코이카의 공공협력사업으로 제안했으며, 지난해 8월 공공협력 후보 사업으로 1차 선정된 바 있다. 또한 11월에는 몽골 현지에서 주소 현황에 대한 예비조사를 실시했고, 올해 2월 14일 최종 심사를 거쳐 공공협력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LX공사 어명소 사장은 "이번 공공협력사업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주소체계를 몽골에 성공적으로 전파해, K-주소의 브랜드화와 이를 통한 다양한 국가로의 확산이라는 성과를 거두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몽골 정부의 공식 요청으로 이날부터 주소 전문단을 파견해 고위급 회담과 '몽골 주소법' 개정 컨설팅을 통해 몽골 주소 현대화 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상반기 외교부 시행계획 검토와 '무상개발협력관계기관 협의회'를 거쳐 올 하반기 예산 심의 후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