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는 사진올해 특수교육기관 과밀학급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8일 2025학년도 1학기 전국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과밀학급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25년 3월 1일 기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과밀학급은 총 742개다. 지난해 1882개에서 1140개 감소했다.
특수학급에서 과밀학급이 차지하는 비중도 작년 10.1%에서 올해 3.8%로 6.3%p 줄었다. 과밀학급이란 학급당 학생 수가 유치원 4명 초·중등학교 6명, 고등학교 7명을 초과하는 학급을 말한다.
특히 인천교육청과 제주교육청의 과밀학급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인천교육청은 2024년 17.3%에서 2025년 3.8%로 줄었고, 제주교육청은 2024년 27.2%에서 2025년에는 과밀학급이 모두 해소됐다. 이밖에 대구·광주·울산·세종교육청도 과밀학급이 대부분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0만3695명이었던 특수교육대상자가 2024년 11만5610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특수학급의 과밀학급도 2022년 8.8%에서 2024년 10.1%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였다.
이에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특수교육 현장의 과밀학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따라 각 시도교육청은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의 남는 공간을 확보해 2025년 1학기 특수학급을 804개 신설했다. 교육부는 기간제 교원 임용을 지원해 특수교사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앞으로 교육부는 지역별 과밀학급 비율 등 특수교육 여건의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도교육청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