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6개월…중증응급·소아 비중 늘어

LIVE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6개월…중증응급·소아 비중 늘어

중증수술, 중증응급·소아 환자 비중…지난해 1월 45%→올해 1월 52%
5인실 이상 병상 감소·2~4인실 병상 62% 증가…중환자실, 112개 증가

연합뉴스연합뉴스
정부가 의료개혁의 일환으로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을 시작한 이후 중증수술, 중증응급·소아 환자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0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을 시작한 이후 중증 수술, 입원환자가 증가하는 등 상급종합병원이 중증·응급·희귀질환 중심 진료에 집중하는 여건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서 중증·응급·희귀질환에 집중하고, 전공의에게는 밀도 있는 수련을 제공하는 등 임상과 수련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구조전환 지원사업을 추진했다. 전국 상급종합병원 47곳 모두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먼저 중증수술, 중증응급·소아 등 적합질환 환자 비중이 지난해 1월 44.8%에서 지난 1월 52%로 7.2%p 증가했다.
 
지난해 비상진료기간에 감소했던 진료량은 지원사업 시작 이후 중증수술·입원 등 중증 중심으로 역량을 회복하고 있다. 비중증 환자는 종합병원을 이용하면서 종합병원 이상의 전체 환자 수는 지난해 대비 98%로 유사한 수준이다.
 
상급종합병원과 지역 2차 병원 간 진료협력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41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지역 2차 병원과 패스트트랙을 구축해, 2차 병원에서 진료받던 환자도 암, 급성백혈병 등 중증 의심 소견이 있는 경우 다음 날 바로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받고 입원하는 등 진료 대기기간이 크게 줄어드는 사례도 늘고 있다.
 
수도권 대형병원 쏠림을 막고, 지역 내 진료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에서 처음 도입한 '전문의뢰 및 회송'도 크게 증가했다. 전문의뢰는 지난해 11월 859건에서 12월 4408건, 올해 1월 7076건으로 늘었고, 전문회송은 같은 기간 4565건, 1만3028건, 1만8923건으로 증가했다.
 
상급종합병원 인프라도 중증 중심 진료체계를 뒷받침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 감염 등 환자 관리에 우려가 있었던 5인실 이상 병상(5인실 52.4%, 6인실 이상 31.7% 감소)은 줄고, 2~4인실 병상은 61.5% 늘었다. 중환자실도 지난해 9월보다 올해 1월 기준 112개 증가했다. 
 
상급종합병원이 구조전환을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연간 3조3천억 원 규모의 지원금도 집행하고 있다. 중증수술·중환자실 수가를 인상했고, 중증·응급환자 등 24시간 진료 대기(당직) 지원에 '24시간 진료지원금'을 사전 지급했다.
 
복지부 정경실 의료개혁추진단장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을 통해 상급종합병원이 진료량 경쟁을 벗어나 중증·응급·희귀질환 중심의 의료 질 제고에 집중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