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노동위원회. 연합뉴스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12.3 내란 사태 이후 잠정 중단했던 사회적 대화에 복귀한다.
다만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서 논의하던 고령근로자 계속고용(정년연장) 등의 주요 의제는 차기 정부의 몫으로 넘어갈 전망이다.
한국노총은 10일 오전 상임집행위원회를 열고 "향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계속고용위원회와 일·생활균형위원회에서 기존 논의된 사항을 마무리한다"고 결의했다.
다만 조기 대선에 돌입한 점을 감안해 "새 정부 출범까지 새로운 논의는 보류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노총은 12·3 내란 사태 직후 "기후위기와 산업전환에 따른 일자리 문제와 정년연장 등 정말 시급한 문제가 눈앞에 놓여있지만, 자격이 없는 정부와의 대화는 무의미하다"며 경사노위 참여를 잠정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한국노총은 지난해 11월 10차 계속고용위원회 전체회의를 끝으로 회의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권기섭 경사노위 위원장은 지난 2월, 정년연장과 관련해 한국노총 복귀나 노사 합의가 불발될 경우 공익위원안을 공개하도록 추진해 4월 안에 결론내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이번에 한국노총이 복귀하면서 노·사·공익위원의 의견을 모아야 하지만, 계속고용위 활동기한이 6월 초에 마무리된다. 대선 시점이나, 한국노총이 이날 밝힌 입장을 고려하면 정년 연장 등에 대한 논의는 차기 정부에서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