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남북 간 개성공단 6차 실무회담이 결렬되자 26일 통일부를 2차례에 걸쳐 방문하고 긴급 대책회의를 여는 등 온종일 분주했다.
한재권 비대위 공동대표위원장을 비롯한 기업인들은 이날 오전에 이어 오후 김남식 통일부 차관과 김기웅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을 잇달아 면담했으나 만족할만한 답변을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비대위는 오후 여의도 사무실에서 긴급회의서 북한 측이 전날 배포한 남북 간 실무회담 관련 문건을 회람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숙의했다.
한 입주업체 대표는 "북한 측이 배포한 문건을 돌려봤다"면서 "북한 측이 이 정도 수준으로 내놓은 것을 보면 우리 기업들이 개성공단에서 생산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봐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껏 북한 측이 이런 정도로 먼저 제시한 적이 없다"면서 "오히려 정부가 개성공단을 정상화할 의지가 없는 게 아니냐"고도 했다.
실제로 개성공단 이날 비대위 회의는 `정부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는 후문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이 열리는 기간에 공단 정상화나 정부에 대한 의견과 불만을 표출해오지 않았지만 이날 회의 분위기는 매우 심각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기·전자부품 업체를 비롯한 일부 기업은 "이제 우리도 중대 결심을 할 시기가 왔다"면서 `철수 불가피론'까지 내비치고 있다.
개성공단 표류 사태가 입주기업들의 `엑소더스'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한 전기업체 대표는 "만약 개성공단 정상화가 되지 않는다면 "공단 내 설비·장비를 반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조치를 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남북 간 실무회담이 이어질 경우라도 공단 내 장비·설비 점검을 위한 `긴급 정비인력'의 방북과 일정기간 공단 체류를 허가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입주기업의 60∼70%를 차지하는 섬유·봉제 업체들도 개성공단 정상화가 더 늦어지면 내년 사업마저 불투명해진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통상적으로 6∼8개월 전에 주문을 받아 제작에 들어가기 때문에 늦어도 8월에는 정상화가 돼야 차질 없이 내년 봄·여름 상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의류업체 만선의 성현상 사장은 "가을·겨울 상품은 이미 물 건너간데다 한 달이 지나면 봄·여름 주문도 못 받는다"며 "이후에는 정상화를 해도 내년 4∼5월까지 일감이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통일부가 입주기업 공장 점검을 위한 개성공단 출경 인원을 정할 때 입주기업을 무시한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기업 규모에 따라 인원이 달라야 하는데 통일부가 일률적으로 정했다는 것이다.
한상권 비대위 공동대표위원장은 "정부 측의 설명을 들은 뒤 우리도 향후 대응방안을 결정할 것"이라며 "오는 30일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입주기업들의 입장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개성공단 비대위 회의에 앞서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과 전순옥 민주당 의원이 사무실을 방문해 눈길을 모았다.
정 전 장관은 "특별한 이유가 있어 온 게 아니라 위로를 드리러 왔다"고 운을 뗀 뒤 "개성공단은 입주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민족의 미래가 달린 문제"라며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