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K팝스타3', 꺼져가는 오디션에 불씨를 지피다



방송

    'K팝스타3', 꺼져가는 오디션에 불씨를 지피다

    전작에 비해 시청률 두배 이상 급상승

    'K팝스타3'의 심사위원 박진영, 양현석, 유희열 (SBS 제공)

     

    지난해 다섯 번째 시즌을 맞은 Mnet '슈퍼스타K'가 흥행에 실패하면서 '이제 오디션의 생명은 끝'이라는 기사를 썼다. 정말 그럴 거라고 생각했다. MBC '위대한 탄생'도 세 시즌 만에 막을 내렸고, 이제 지상파에서 유일하게 남은 서바이벌 오디션은 SBS 'K팝스타'뿐이기 때문에 '오디션의 몰락'에 대중도 공감했다.

    몇 년 전부터 시청자들은 오디션 프로를 두고 식상하고 지겹다는 반응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그도 그럴 것이 예능판에서 오디션 트렌드는 꽤나 오랜 기간 지속됐기 때문이다. 대중에게 오디션 프로는 더이상 흥미도 감동도 없는 것이 돼 버렸다.

    그런 와중에 'K팝스타'의 SM엔터테인먼트 보아가 시즌3 시작 직전에 심사위원에서 하차했고, 안테나뮤직의 유희열이 들어왔다. 이로써 'SM-YG-JYP, 3사가 평가하는 오디션'이라는 수식어는 사라지게 되면서 'K팝스타'는 독창성마저 잃게 됐다.

    그렇지만 유희열의 투입이 어떻게 보면 '신의 한 수'였다. 유희열은 특유의 재치 넘치는 입담으로 자칫 형식적이고, 지루해질 수 있는 심사평의 중심을 잡아줬다. YG 양현석이 감동적인 명언을 생각하고 있고, JYP 박진영이 전문적인 용어를 써가며 참가자들을 심사하고 있을 때 유희열은 긴장을 덜어대는 '조크'로 분위기를 전환시켰다.

    'K팝스타3' 방송 캡처

     

    매 시즌 다른 방식의 경쟁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도 'K팝스타' 만의 차별화였다. '팀미션 쇼케이스'와 '팀미션 파이널 매치' 등은 참가자(팀)가 자신이 원하는 또 다른 참가자(팀)과 한 조를 이뤄 합동 무대를 선보이는 미션이다. 이로써 참가자(팀)들은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상대방의 강점을 극대화시켜 최고의 무대를 선사할 수 있었다.

    다른 오디션 프로와 다른 'K팝스타' 만의 빠른 전개 역시 시청자의 주목을 끄는 데 성공 요인으로 작용했다. 'K팝스타'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각국에서도 오랜 기간에 걸쳐 예심을 진행한다. 때문에 사전 준비기간 역시 만만치 않지만, 제작진은 긴박한 전개를 위해 분량을 과감하게 덜어냈다. 또 경연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인 참가자에게는 자비 없이 탈락을 준다.

    지난해 11월 시즌2 종영 후 8개월 만에 돌아온 'K팝스타3'는 시청률 경쟁에서도 선전하고 있다. 전작 '맨발의 친구들'은 시청률 4~5%로 부진을 겪으며 7개월 만에 종영했다. 이후 방송된 'K팝스타'는 시청률을 11.6%(닐슨코리아 전국, 1월 5일 방송분)까지 두 배 이상 끌어 올렸다.

    오디션 프로의 열기는 예전보다 못한 게 사실이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K팝스타'가 꺼져가는 오디션 바람에 다시금 불씨를 지피고 있다.{RELNEWS:right}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