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2016년 총선 공천권이 달린 '당권'을 두고 친박 지도부와 친이를 중심으로한 비주류의 정치적 셈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친박 지도부는 6·4 지방선거와 7월 재보선을 끝내고 8월 말쯤 전당대회를 치르자는 주장이다. 당권 경쟁이 조기 가열되면 계파 갈등을 불러 선거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우려에서다.
또 지방선거와 당내 선거가 시기상 겹치기 때문에 당력과 국민적 관심도 분산된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당권주자들에게 관심이 쏠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에 악재라는 분석이다.
현실적인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아무런 준비 없이 3월에 할 수도 없고, 지방선거를 한 두달 앞둔 4∼5월에 치르기에는 지방선거에 매진해야할 시기이기 때문에 부담이 크다.
더 구체적인 속내를 들여다보면, 차기 당권을 도모하는 친박 주류로선 굳이 모험할 필요가 없어서다.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당 대표는 2016년 공천권을 쥐는 등 권한이 막강하다. 그런데 지방선거 전에 뽑힌 당 대표가 선거에서 패배할 경우 바로 책임론에 휩싸여 조기 낙마할 공산이 크다. 이같은 최악의 수를 상정해 책임론을 피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에 따라 친박 지도부는 5월 15일 대표최고위원과 최고위원이 사퇴하면 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당권 주자를 비롯한 지도자들을 참여시켜 선거를 치르자는 구상을 하고 있다.
하지만 친이를 주축으로 한 비주류는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는 조기전대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맞불을 놓고 있다.
황우여 대표를 비롯한 현 지도부의 임기가 끝나는 5월 이전에 필사의 각오로 선거에 책임질 수 있는 지도부가 탄생해야 한다는 논리다.
김영우 의원은 "전대 연기는 지방선거 필패로 귀결된다. 미리 지방선거 패배를 상정해 연기하자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6·4 지방선거 필승 카드로서 전대를 하는 것이 맞다. 지방선거 끝나고 수습용으로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용태 의원은 "어영부영해서 지방선거, 재보선 끝나고 8월 당권 잡은 사람이 잘 버텨 2016년 공천까지 하겠다는 소리말고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비주류 측이 판을 흔들어 변수를 만들기 위해 '원칙대로'라는 명분을 내세운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성태 의원은 "(8월 전대까지) 100일 동안 당 지도부 없는 체제를 두는 저의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며 "일부 당 지도부가 본인의 정치적 진로와 정치적 활동 기간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전당대회가 연장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권 도전을 기정사실화한 김무성 의원과 서울시장 출마를 긍정적으로 검토중인 정몽준 의원 모두 지난 12일 최고중진연석회의 비공개 회의에서 전당대회 연기론에 제동을 걸었다.
양측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절충안으로 지방선거와 재·보선 중간 기간인 6월말∼7월초에 열자는 의견도 최근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