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제공
핀테크 기업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려면 서비스 적용 대상 금융회사의 전산시스템 일부를 열람해 이를 이용하는 게 필수적이다.
그러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 개별적으로 거대 금융회사와 전산시스템 이용 협약을 맺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특정 금융기관과 협약을 맺어 서비스를 출시해도, 전산시스템 표준이 다른 금융기관들에는 호환되지 않는 것도 문제다.
결국 모든 금융기관에 적용되는 핀테크 서비스를 개발하려면 스타트업이 전체 금융기관과 협약을 맺어야 하는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만약 핀테크 스타트업이 개발하려는 서비스 관련 전산시스템 자료를 전체 금융기관이 모두 공개한다면 스타트업의 서비스 개발은 한결 수월해질 것이다.
정부가 이처럼 금융기관은 핀테크 서비스 개발 관련 전산시스템 자료를 올려놓고, 스타트업은 이를 이용해 서비스를 개발하고 시험까지 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 정찬우 부위원장은 15일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제3차 핀테크 지원센터 '데모 데이(Demo day)' 행사에 참석해 '금융권 공동 핀테크 오픈 플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금융권 공동 핀테크 오픈 플랫폼(이하 오픈 플랫폼) 구축에는 17개 시중은행과 15개 증권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오픈 플랫폼은 각 금융회사가 제공한 내부 금융 서비스 API(프로그램 명령어 덩어리)인 'Open API'와 개발된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험하는 'Test-bed'를 더한 개념이다.
정부는 핀테크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수요 조사를 거쳐 오픈 플랫폼에 공개할 API 종류를 선정할 방침이다.
특히 정부는 잔액조회 API 등 금융기관 간 차이가 크지 않은 API는 '표준화'해 공개함으로써 전체 금융기관에 적용되는 서비스 개발이 수월하게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오픈 플랫폼 구축이 완료되면 새롭고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가 빠르게 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은행 잔액조회 API가 공개되면 핀테크 기업은 이를 기존 가계부 앱에 추가하는 것만으로 잔액조회 기능이 포함된 가계부 앱을 개발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이 우리나라 산업 발전의 기반이 되었듯이 오픈 플랫폼 구축이 국내 핀테크 산업 발전의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농협과 IBK 등 일부 은행은 최근 자사 금융서비스 프로그램을 핀테크 기업에 공개하는 오픈 플랫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전체 금융기관이 참여하는 금융권 공동 핀테크 오픈 플랫폼 구축이 계획대로 내년 상반기에 완료되면 세계 최초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핀테크 분야 후발국에서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금융위원회는 강조했다.
핀테크 선진국인 영국도 지난해부터 금융권 공동 오픈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지만, 개별 금융기관 플랫폼 구축이 상당히 진행된 후 뒤늦게 표준화 작업에 나서 2017년 말쯤에나 완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