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컷뉴스의 '뒤끝작렬'은 CBS 기자들의 취재 뒷 얘기를 가감없이 풀어내는 공간입니다. 전방위적 사회감시와 성역없는 취재보도라는 '노컷뉴스'의 이름에 걸맞은 기사입니다. 때로는 방송에서는 다 담아내지 못한 따스한 감동이 '작렬'하는 기사가 되기도 할 것입니다. [편집자 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일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우리 현대사를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굴욕의 역사'라고 억지를 부리는 주장은 이 땅에서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일 밝힌 내용이다. 그러면서 "편향된 역사관에 따른 교육으로 혼란을 겪지 않도록, 철저하게 사실에 입각하고 중립적인 시각을 갖춘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정 역사교과서 추진 의사를 밝혔다.
김 대표가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을 주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하지만 국회 본회의장에서 여당 대표로서 국회의원들은 물론 TV로 생중계를 지켜보고 있는 국민들을 상대로 한 이같은 발언은 이전과 무게감이 다르다.
김 대표의 발언은 현재 우리의 역사관을 '자학의 역사관', '부정의 역사관'으로 규정하고 미래지향적이고 긍정적인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심어주기 위해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요약된다.
김 대표가 지칭한 자학과 부정의 역사관은 이승만 전 대통령과 박전희 전 대통령이 각각 건국 대통령, 산업화 대통령으로 공적이 큼에도 불구하고 대신 친일청산에 부정적인 대통령, 민주화 세력을 탄압한 대통령으로 기록되고 있는 부분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김 대표는 그동안 수차례 두 전직 대통령을 치켜세우며 제대로된 역사적 평가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해 왔다.
동시에, 두 전직 대통령에 맞서 친일청산과 민주화에 힘쓴 인사들의 경우 과대포장돼 국민적 추앙을 받아왔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가 "특정 사건과 인물에 대한 과대포장은 철저히 배격해야 한다"고 밝힌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굳이 김 대표 부친과 관련된 친일행적 논란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김 대표의 이같은 역사인식이야 말로 자신이 비판하고 있는 이념적이고 시대착오적인 역사관이라는 점이다.
김 대표는 그동안 "좌파와의 역사 전쟁에서 승리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자주했고 이는 다분히 역사교육을 좌우 이념전쟁의 장으로 취급하는 발언이다.
동시에 지난 2007년 국정 역사교과서가 폐지된 이후 현재의 역사교과서로 역사 교육을 받은 청년층이 여당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다는 인식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사 교육을 선거나 표로 연결시키려는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정치인인 김 대표가 다가올 총선과 대선이 걱정된다면 청년층에게 지지를 받는 정책으로 승부해야 하면 될 일이지 '역사 전쟁' 운운하며 역사 교육을 선거와 연계시키려 해서는 안된다.
여기다 유신시절인 지난 1974년 시작됐다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지난 2007년 폐지된 역사 국정교과서를 다시 부활시키겠다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다.
김 대표 등 우파진영이 현재의 역사교과서가 좌편향적이라고 생각한다면 좌편향적이지 않은 교과서를 만들어 교육부의 검정을 받고, 또 교육계의 선택을 받으면 될 일이다.
다만, 지난 2013년 발행된 뉴라이트 성향의 교학사 교과서가 온갖 오류와 왜곡으로 교육계에서 외면받았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함께 더욱 우려스러운 상황은 김 대표의 역사관이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관과 그 맥이 닿아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박근혜 정부 임기가 반환점을 돌았지만 아직 한·일 정상회담조차 열리지 못한 이유는 바로 일본이 과거 역사를 부정하고 이를 미화하려는 극우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사진=일본총리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종전 70주년 기념 담화에서도 과거 자신들의 침탈의 역사를 시대적 조류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미화하며 심지어 "많은 아시아나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용기를 북돋웠다"는 궤변을 늘여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