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오후 3시 30분쯤 전북 전주시 덕진구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한국노총 소속 노조원들이 일감을 투고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사진= 제보자 제공)
전북지역 건설 현장에서 노조원들이 집단 폭력 사태에 이어 건설회사에 돈을 요구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노조의 일탈행위가 수사당국의 수사선에 오르고 있어 노동계의 자정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전북 전주의 한 아파트 건설회사 관계자는 "한 노조 지역 지부에 노조 전임비 명목으로 매달 100여만 원을 입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건설사는 공사 현장에서 기술이 없는 해당 노조 소속 일용직을 고용하지 않는 대신, 3년 동안 2000만 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사들은 차라리 돈을 주는 게 낫다고 입을 모은다.
노조가 작업 현장의 불법 행위를 찾아내 협박하거나 쟁의 활동에 돌입하면 공기만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또 다른 아파트 건설회사 관계자도 "건설사 입장에서도 전임비를 주는 게 조용히 일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종종 건설사가 먼저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노조 측은 건설사에 돈을 받은 것은 인정하지만, '노조 전임비'가 아니라 '단체 협약비'라고 반박하고 있다.
노조 측 관계자는 "받은 돈은 지부에 근무하는 상근자를 위한 돈"이라면서 "애초 건설사와 단체 협약비 지급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주장했다.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달 29일 전주시 덕진구의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선 일감을 두고 같은 노조원끼리 집단 폭행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노동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한다.
한국노동연구원 박명준 위원은 "노조가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 같다"며 "노동력 공급에 의한 통제는 자연스럽지만 표출되는 방식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경찰 관계자는 "건설 현장의 폭력 사태와 함께 현금 갈취도 명백한 불법이다. 관련 증거가 확보되면 수사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