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40개 의대 중 19곳 전원 등록…'빅5' 이어 지방국립대도 속속 합류

40개 의대 중 19곳 전원 등록…'빅5' 이어 지방국립대도 속속 합류

핵심요약

인하대 등 일부 대학 여전히 미등록률 높아
'내년 의대 모집인원, 4월 말쯤 확정될 듯'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은 31일 전국 40개 의대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9개 대학 의대생이 사실상 전원 복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대학들도 의대생 상당수가 복귀 행렬에 속속 동참하면서, 의대 교육이 1년여 만에 정상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교육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전원 등록을 마쳤거나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는 총 19곳이다.

이른바 '빅5 대학병원'을 둔 가톨릭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울산대를 비롯해 가천대·경북대·경상국립대·경희대·고려대·부산대·을지대·이화여대·전남대·조선대·중앙대·차의과대·충남대·충북대 등이다.

'지난해와는 달리 관용은 없다'는 정부의 강경 방침에 의대생들이 복귀 대열에 합류하고 있는 것이다.
 
이날 등록을 마감하는 대학은 가천대, 건국대, 계명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아주대, 원광대, 한양대 등 8곳이다. 3곳(순천향대 3일, 인제대 5일, 동아대 7일)은 4월 초에 등록이 마감된다.
 
다만 인하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은 여전히 미등록률이 상당히 높아 제적 사태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 의대생 자체 조사 결과 97%가 '미등록 투쟁'에 투표한 것으로 알려진 인하대는 지난 28일이 시한이었지만 이날 밤까지 추가 신청을 받기로 했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전체적인 큰 흐름이 등록 쪽으로 바뀌었다고 한다"면서도 "어떤 대학은 전혀 등록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처럼 의대생들이 속속 복귀하고 있지만 정부의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확정은 4월 말쯤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실제 의대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지 충분한 확인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의대생이 제적을 피하기 위해 일단 등록을 해놓고, 수업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거나 수업을 거부할 수도 있다. 실제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 학생회는 복귀를 결정하면서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구 대변인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확정과 관련해서는 "4월 30일까지 각 대학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모집인원을 제출해야 한다"면서 "당연히 그때까지는 총 모집인원이 정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7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과대학 학생 복귀 및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지난 7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과대학 학생 복귀 및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앞서 교육부는 지난 7일 의대생들이 3월 말까지 전원 복귀하는 것을 전제로 2026학년도에 한해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조정하는 내용을 담은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했다.

다만 교육부는 '의대생 전원 복귀'라는 의미는 '대학에서 판단할 때 수업이 가능한 상식적인 수준'이라고 밝혔다.

의대생들이 집단 수업거부를 할 경우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5058명으로 2천명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