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유시민 맹비난에 입연 서울대 총학 "불공정 분노 공감 못해"

유시민 맹비난에 입연 서울대 총학 "불공정 분노 공감 못해"

"유 이사장, 대학생 문제의식 전혀 공감 못 해"
마스크 착용 비판에도 반박…"신상털이·조리돌림 두려운 수밖에"
자유한국당 집회 참여 논란, "신원 몰랐다…공식 사과 요구" 해명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서울대학교 촛불집회를 두고 '자유한국당이 어른거린다'며 비난한 가운데 집회를 주최한 서울대 총학생회장이 "대학생들의 문제의식에 전혀 공감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우려의 뜻을 밝혔다.

도정근 서울대 총학생회장은 29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어제 재학생들은 학생증, 졸업생은 신분증과 졸업증명서 대조를 통해 확인을 하고 집회장 안으로 입장을 하게 했다"며 "현장을 직접 보지도 않고 그런 말을 한 것 같다. 대학생들이 갖는 문제 의식에 대해 전혀 공감을 못하는 게 아닌가 싶다"고 꼬집었다.

유 이사장은 이날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지난 28일 서울대의 2차 촛불집회를 두고 "자유한국당의 손길이 뒤에서 어른거린다", "물 반, 고기 반이다. 순수하게 집회하러 나온 대학생이 얼마나 많은지, 얼마나 모이나 구경하러 온 자유한국당 관계자들이 많은 지 아무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비판에 도 회장은 "학생들은 공정성 부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며 "학생들이 분노하는 지점은 3년 전 광화문에서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고 그런 가치가 훼손된다는 느낌을 받아 분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정성의 훼손 같은)그런 부분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지 자꾸 학생들을 비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대학생들이라면 기본적으로 가치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본다"며 "과거에도 현재에도 사회적 이슈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서 대학생들이 목소리를 내 온 역사가 있고, 저희도 그렇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울대생뿐만 아니라 많은 학생들이 3년 전 광화문 촛불집회도 많이 나갔고, 당시 고등학생, 대학생이었던 친구들이 이번 촛불집회에도 똑같이 참여했다"며 "오히려 본인이 동의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잘한다고 판단하고 '선택적으로 바라보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반박했다.

특히, 유 이사장이 일부 학생들이 마스크를 쓴 것을 두고 "지금 조 후보자와 대통령을 비난한다고 해서 누가 불이익을 주느냐. 왜 얼굴을 가리느냐"고 비난한 것에 대해서도 도 회장은 반론을 이어갔다.

도 회장은 "현장에서 마스크 쓴 사람이 그렇게 많지도 않았지만, 마스크를 쓴 학생들의 마음도 충분히 이해가 간다"며 "나는 회장이고 온라인상에서 인신공격을 당하는 것도 감수할 수 있지만 평범한 학생들은 신상 털리고 조리돌림 당하는 게 두려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날 2차 촛불집회에 자유한국당 정준길 전 대변인이 참석해 조국 후보자를 비판하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는 "현장 발언을 신청받을 때는 몰랐고, 끝난 이후 알았다"며 "집회 취지와 원칙을 위반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사과를 요구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이 사회적 불평등을 되물림 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제기이고, 그것이 조 후보자를 통해 대표적으로 드러난 것"이라며 "법을 그만큼 잘 아는 분이 법망을 잘 피해가며 사회적 되물림을 계속하려고 노력한 부분에 대해 분노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도 회장은 마지막으로 "조 후보자에 제기된 의혹들이 법무부 장관으로서 결격 사유인지 아닌지, 왜 과도한 비판이라고 생각하는지 등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기 보다는 서울대생들이 자유한국당의 그림자니 바른미래당의 사주를 받았느니, 서울대도 기득권이니 하는 식으로 반응하는 분들이 대부분"이라며 "진영논리를 벗어나 좀더 건설적으로 논의가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한편, 조 후보자 사퇴 목소리는 대학가를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대 학생들은 지난 23일과 28일 연달아 두 차례 촛불집회를 열고 조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했다. 부산대 학생 200여명도 28일 촛불집회를 열고 의혹에 대한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조 후보자 딸이 졸업한 고려대 학생들은 지난 23일 1차 집회에 이어 29일 저녁 총학생회 주최로 2차 촛불집회를 연다.

0

0

전체 댓글 21

새로고침
  • NAVER피붙은닭고기2024-01-28 19:04:31신고

    추천4비추천0

    그동안에 수고하신 노인들을 위한 복지차원에서라도 무료승차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들이 그동안 일해서 벌어다준 세금과 희생으로 국가가 이렇게 발전했던건데...그걸 너무 알아주지 않는건 너무 가슴아픈일이고 앞으로 노인될 예비젊은분들도 이런식을 노인을 위한혜택들이 점점 줄어간다면 암울하겠죠. 지금의 대한민국은 젊은세대에겐 저출산 극복이라는것을 위해 아낌없는 투자를 하면서 이제는 생산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노인들을 이렇게 홀대한다면 누가 이국가를 위해 헌신할까요.???

    답글 달기

  • NAVER원숭이2024-01-27 10:51:10신고

    추천1비추천3

    역지사지 연구하고 토론합시다.
    1, 승격이 없어도 지하철은 다난다 오른 말씀.
    그러나 수요 공급에서 인구 구조상 매년 유입 유료 승객은 감소하고 노령화로 무료승객은 증가됨.

    2. 도시 노인회 회장입니까? 대한민국 노인회 회장입니까?
    중소도시 시골노인은 왜 무시하는지요,
    이것도 무전유죄입니까?

    흥분하지 마시고
    대한민국 산업역국 전체를 위한 정책에 대하여 노인회가 앞장서 주세요,
    지엽적인 무임승차보다 근본적이고 전국 어른(노인)에게 도움이되는 정책,,,,,
    시골 노인은 지하철이 없다!!!!!!!!!

    답글 달기

  • NAVERhyunee2024-01-27 09:57:53신고

    추천5비추천1

    이 놈아, 노인은 경마장 가면 안 되나? 경마장이 뭐 하는 곳이고? 그게 불 건전한 시설이라는 투로 말 하는데 그렇다면 그런 시설을 정치하는 사람들이 없애야지. 노인은 경마장 가서 푼 돈으로 야외에서 시원한 공기도 마시고 경마 구경하면 안 되나? 젊은 사람들은 그거보다 더한 곳도 많이 가잖니? 너도 룸살롱 가서 접대 받았다고 신문에 났던데...경마장 가서 돈 안 걸고도 얼마든지 스피드 게임 즐길 수 있다. 그게 왜 거기서 튀어나와? 노인들이 공짜 지하철 타고 경마장 가면 안 된다는 게 무슨 사고방식이야?

    답글 달기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