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2019년 홍콩, 1980년 광주와 같다" 재한 홍콩인들, 연대 호소

사회 일반

    "2019년 홍콩, 1980년 광주와 같다" 재한 홍콩인들, 연대 호소

    재한 홍콩인들 "한국의 과거 시위들, 홍콩 시위에 영향 미쳐"
    시민들, '연대집회' 열어 홍콩에 지지의 뜻 표명…26일 중국대사관에 항의서한 전달

    (사진=연합뉴스)

     

    홍콩 시위 열기가 한국에도 번지고 있다. 7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홍콩 시위가 폭력으로 점철되면서 국내에 있는 홍콩인들은 민주화 운동을 거친 한국이 홍콩에 지지를 보내줄 것을 호소했다.

    홍콩 유학생들은 홍콩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국내 대학 캠퍼스에 포스터를 붙이거나 학교 커뮤니티 등 SNS에 글을 올리고 있다. 지난 6월 홍콩 유학생 수십명은 '송환법(범죄인 인도법)' 등에 반대하며 홍익대 번화가에서 침묵 시위를 하기도 했다.

    당시 한국에 관광을 온 홍콩 시민들도 함께 피켓을 들었다. 이들은 시민들에게 홍콩 상황을 알리는 자료를 건네고, 외신 방송 뉴스를 상영했다.

    홍콩인 유학생 A씨는 홍콩 시위가 격화되면서 한달 전 한국으로 유학을 왔다. 지난 2014년 '우산혁명' 등 홍콩 집회들에 참여해온 A씨(20)는 "현지 언론이 사실을 은폐하려는 의도가 보인다"며 "한국 정부가 홍콩 시민들을 도와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촉구한 촛불집회 등이 홍콩 시위대에 영향을 줬다"고 A씨는 설명했다.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 홍콩인 B씨(29)는 "한국은 과거 독재 정부에 반대한 시위부터 박 전 대통령 탄핵을 촉구한 촛불집회까지 30년 동안 빠른 속도로 민주주의를 향해가고 있어 배울 점이 있다고 본다"며 "홍콩이 지금 겪고 있는 힘든 과정을 한국인들이 제일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씨는 현지 매체들이 한국의 과거 시위들과 홍콩의 현재 상황을 비교하고 있다고 전했다.

    홍콩 시위에 힘을 보태기 위해 예술계도 손을 맞잡았다. 지난 3월 홍콩에서는 광주 민주화 운동과 홍콩 시위를 하나의 서사로 엮은 뮤지컬이 상연됐다. 양국의 배우들이 함께 열연했다.

    (사진=5·18 기념재단 제공)

     

    한국에서 1년 넘게 생활하고 있는 홍콩인 예술가 C씨(30)는 "한국인들이 1980년대에 겪었던 운동이 30년 후 홍콩에서 되풀이되고 있다는 게 슬프다"며 "잘못된 정부를 시민의 힘으로 타도한 한국인들에게 감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연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광주 5·18 기념재단 등 시민단체는 지난 19일 홍콩 시위대에 지지를 표하며 지원 계획을 세우겠다고 발표했다.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시민들은 재한 홍콩인들과 '연대 집회'를 열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0일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역 근처에서 시민들이 '국가폭력에 반대하며 홍콩의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연대 집회'를 열었다. 홍콩 유학생, 시민 활동가 등 20여 명은 한국 정부에 홍콩에 대한 연대를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문을 발표했다.(사진=박하얀 기자)

     

    시민과 홍콩 유학생 등 20여 명은 지난 20일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역 근처에서 '국가폭력에 반대하며 홍콩의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연대 집회'를 열었다.

    이날 이들은 검정색 옷과 마스크, 노란색 헬멧 등 홍콩 시위대와 같은 복장을 착용했다. 참여자들은 'Stand with Hong Kong(홍콩과 함께 해달라)', '국가폭력 중단하라', '광복홍콩 시대혁명', 'Fight for Freedom(자유를 위해 싸우자)' 등의 구호를 외치며 한국에 연대해줄 것을 호소했다. '한국인들은 홍콩 시민을 지지한다', '힘내 홍콩!' 등이 적힌 피켓도 눈에 띄었다.

    이들은 발표한 성명문에서 "우리 동아시아의 시민들은 자랑스러운 시민 저항의 전통을 공유하고 있다"며 "80년 광주가 그럤듯, 시민들의 저항, 불복종과 국경을 넘은 연대는 우리가 경험하는 폭력의 연쇄고리를 끊을 강력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중랑희망연대 이상현 사무국장은 "2019년 홍콩은 1980년 한국의 광주라는 말을 듣고 있다"며 "한국의 민주화 운동은 홍콩 혁명의 귀감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월 항쟁, 촛불혁명 등을 겪은 한국 정부가 홍콩 시위에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고 있는 것은 부끄럽고 참담한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오는 26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중국대사관까지 행진하고, 중국대사관에 항의서한을 전달할 계획이다. 서한에는 홍콩과 중국 정부가 홍콩 시위대에 가하는 반인륜적인 폭력을 멈추고, 시민들이 요구한 5개 안에 대한 협상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시민들은 송환법에 반대하며 지난 3월 말부터 시위를 전개했다. 송환법은 대만,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 조약이 체결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사안별로 범죄자를 인도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홍콩 시민들 사이에서는 송환법이 통과되면 중국 중앙정부가 범죄 혐의를 구실로 삼아 홍콩인을 마음대로 체포할 수 있어 홍콩의 사법 자치권이 와해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시민들의 격렬한 저항에 홍콩 정부가 송환법 완전 철폐를 공식 선언했지만, 시민들은 행정장관 직선제 등을 요구하며 시위는 '반중국' 성향으로 흐르고 있다. 연이은 폭력 사태까지 불거지며 시위는 격렬해지고 있다.

    홍콩 시위대는 ▲송환법 완전 철폐 ▲경찰의 강경 진압에 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 5가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