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트럼프 판문점 회동때 빠진 볼턴이 뭘알아? 靑의 이유있는 경고

대통령실

    트럼프 판문점 회동때 빠진 볼턴이 뭘알아? 靑의 이유있는 경고

    볼턴 자서전 신중한 입장 취했던 청와대, '판문점 회동' 폄훼에 반발
    "사실관계 왜곡됐다" 정의용 실장 명의로 미국 NSC에 공식 항의
    볼턴, DMZ 남북미 정상회동 추진 논의 처음부터 배제돼
    전날 만참 불참 이어 트럼프 판문점 갈때 몽골로 떠나
    두달 후 경질된 볼턴, 의도적 팩트 왜곡 가능성
    "외교 관계 금도 지켜야" 靑 재발방지 차원에서 경고 보내

    미국 백악관을 배경으로 18일(현지시간) 촬영된 존 볼턴 전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 '그것이 일어난 방'의 표지.(사진=연합뉴스)

     

    청와대가 22일 존 볼턴 미국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에 대해 "사실관계가 왜곡됐다"며 정면 반박했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명의로 미국 국가안보회의(NSC)에 보낸 항의문도 공개됐다.

    초반에는 개인 저서에 대해 청와대가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는 신중한 기류가 강했지만, 며칠만에 강경 대응으로 선회한 것이다. 청와대가 직접 반박에 나선 것은 '판문점 3자 회동'에 대해 "아무도 문 대통령을 원하지 않았다"는 볼턴 주장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트럼프 DMZ 갈때 몽골로 먼저 떠난 볼턴, 처음부터 논의서 배제돼

    볼턴은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났던 방'에서 지난해 6월 30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판문점 자유의집에서 함께 만난 역사적 장면에 대해 주관적 생각을 담아 기술했다.

    볼턴은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모두 문 대통령의 참여를 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회동 당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 측은 수차례 문 대통령의 참석을 거절했지만 문 대통령이 "판문점 내 관측 초소까지 같이 가자"며 동행을 요청했다는 것. 그러면서 "김 위원장도 문 대통령이 근처에 오기를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하지만 이는 명백한 팩트 왜곡이라는 것이 청와대의 입장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작년 판문점 상황을 화면을 통해 보면 당시 볼턴의 역할이 뭐였는지 쉽게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의 설명대로 판문점 회동 당시 볼턴의 모습은 화면으로 찾아볼 수 없다. 볼턴이 트럼프 대통령의 비무장지대 방문과 관련해 처음부터 논의에서 배제돼 있었기 때문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회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만남이 이루어진 지난해 6월 30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뉴스가 방영되고 있다. (사진=박종민기자/자료사진)

     

    볼턴은 회동 전날인 6월29일 청와대에서 열린 만찬 명단에도 처음부터 이름이 올라오지 않았고, 실제 만찬에 불참했다. 다음날인 30일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을 통과했을 때 동행하지 않고, 먼저 몽골 울란바토르로 출국했다. 이날 트위터를 통해 자신이 몽골에 와 있음을 알리기도 했다.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대통령의 DMZ 방문을 동행하지 않고 다른 나라로 쫓기듯 먼저 떠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볼턴을 일부러 배제시켰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당시 북한과의 비무장지대 회동을 급하게 준비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매파'이자 '대북 강경파'인 볼턴을 논의에서 제외시키고, 일을 성사시키기 위해 핵심 실무진들만 남긴 것이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비롯한 실무진들과 상의하며 회동을 추진했다.

    판문점 회동이 성사되고 한국을 방문한지 두 달이 조금 지나 볼턴는 트럼프 정부에서 경질됐다. 이처럼 당시 논의에서 처음부터 제외돼 불만이 쌓여있던 볼턴이 자사전을 통해 악의적으로 팩트를 왜곡했다는 것이 청와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지난해 6월 30일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첫 조우를 했다. (사진=청와대 제공)

     

    ◇ "일방적 폭로는 외교 관례상 최소한의 금도 깨는 것" 재발방지 위한 경고

    아울러 정상간의 외교를 낱낱이 폭로하는 것은 외교의 금기를 깬 행태라는 것이 청와대 입장이다. 청와대는 최근 북한 김여정 제1부부장이 우리측 '특사' 파견 제안을 공개했을 당시에도 강한 유감을 표명한 바 있다.

    이는 앞으로 계속돼야 할 북한 비핵화 협상과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외교의 장에서 이와 같은 일방적인 폭로가 반복돼서는 안된다는 경고성 메시지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정의용 실장은 "정부 간 상호 신뢰에 기초에 협의한 내용을 일방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외교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것으로 향후 협상에 실리를 매우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며 "미국 정부가 이러한 위험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 달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이런 부적절한 행위는 앞으로 한미 동맹관계에서 공동의 전략을 유지, 발전시키고 양국의 안보 이익을 강화하는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청와대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면서도 볼턴의 주장을 하나하나 반박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보고, 일일이 대응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다만, 볼턴의 회고록 전체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가 미국 측에 공식 경고를 보낸 만큼 어떤 답변이 올지 주목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