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겸 배우 비와 인플루언서 프리지아. 박종민 기자·효원 CNC 제공1인 크리에이터 시대를 연 유튜브가 혐오와 차별, 개인정보 유포 그리고 악성 루머 진원지로 변질되고 있다는 비판 여론에 휘말렸다. 연예인들은 잇따라 '사이버 렉카'를 자처하는 유튜버들을 고소하고 있다. 언론계는 구글코리아에 문제 채널 퇴출을 촉구하고 나섰다.
최근 가수 겸 배우 비(본명 정지훈)와 인플루언서 프리지아(본명 송지아)는 검증되지 않은 허위 사실 영상을 제작·유포한 유튜버들에게 칼을 빼들었다.
비 소속사 써브라임아티스트에이전시는 지난 14일 연예전문 유튜버 A씨를 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소하기로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초 비의 사적인 소비 행태를 겨냥한 영상을 게시, '비가 800억원을 벌었는데도 돈 쓰는데 인색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소속사는 "비와 관련한 허위 사실을 바탕으로 제작된 동영상이 유포되고 있다. 해당 유튜버와 재유포자 등에 대해 가능한 모든 민·형사상 법적 조치를 하겠다"며 "합의와 선처는 절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품 착용 의혹을 인정·사과한 프리지아는 때아닌 소속사 주거 지원, 가품 리뷰 논란 등에 휩싸였다. 모두 유튜브를 비롯한 SNS발 루머들 때문이었다. 프리지아 소속사는 가품 착용 문제와 별개로 주거 지원을 전면 부인하며 향후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이 밖에도 다수 연예인들이 유튜버들의 '아니면 말고식' 주장에 고초를 겪었다. 가수 김종국은 한 해외 헬스 유튜버가 제기한 '로이더'(약물로 근육을 키우는 사람) 의혹을 해명하기 위해 도핑테스트까지 받았다. 인기 아이돌 그룹 멤버들의 유튜브발 열애설은 대개 해프닝으로 끝났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른바 '조회수 장사'에 효과가 좋은 연예인 관련 이슈가 생길 때마다 일명 '사이버 렉카'(이슈가 터지면 온라인 상에서 빠르게 소개·비판 콘텐츠를 만들어 조회수를 올리는 크리에이터)로 불리는 유튜버들이 허위 주장을 발빠르게 유포하는 탓이다. 이렇듯 연예인 혹은 유명인 개인이 루머 해명을 위한 증거를 제시하고, 유튜버들은 높은 조회수 수익만 얻고 빠져나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결국 인기 플랫폼 유튜브에서 연예인과 유명인 개인의 인격을 훼손하는 방식의 수익 창출 콘텐츠가 성행하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몇 년 전부터 유튜브의 무법·사각 지대화를 우려해 왔다. 해외 OTT 플랫폼 규제가 부재한 현실 속에서 기업, 즉 구글코리아의 자율 규제에만 의존해 왔기 때문이다. 채널 흥행에 따라 수익 배분이 달라지는 유튜브로서는 기업 이윤 논리를 무시할 수 없어 소극적 심의·규제라는 한계가 생긴다는 지적이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유튜브 캡처
설상가상 일반인 개인정보 유포까지 기승이다. 지나친 사생활 취재와 혐오·차별 콘텐츠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는 최근 언론계 집중 포화를 받고 있다. 언론계는 가세연이 MBC와 국민일보 기자에 대한 허위 사실 유포, 신상 공개로 심각하게 인권을 침해했다고 정면 비판했다. 해당 채널을 수수방관한 구글코리아와 유튜브도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급기야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을 비롯한 언론계 단체들은 20일 유튜브 콘텐츠 관리 책임이 있는 구글코리아 본사 앞에서 항의 기자회견을 갖고 공문을 전달했다.
이들 단체는 가세연에서 게시한 영상을 두고 "유튜브 커뮤니티 가이드 △저속한 언어 정책 △괴롭힘 및 사이버 폭력에 대한 정책 △잘못된 정보 조항 등을 위반했다"며 이에 대한 구글코리아의 책임 있는 조치와 위반 여부 조사, 규제 절차 검토를 요청했다.
구글코리아와 유튜브가 이번에는 유해 채널들을 적절한 심의와 규제로 손보고, 본연의 순기능을 되찾도록 유도할지에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언론계는 "가세연을 관리하고 규제해야 할 구글코리아와 유튜브는 오히려 자극적 콘텐츠로 조회수와 '슈퍼챗'(실시간 후원금) 수수료를 늘리는 데 관심을 기울일 뿐 사회적 책임을 방관해 왔다. 특히 유튜브는 내부 가이드라인을 두고 있음에도 가세연에 대한 규제를 하지 않고 있다. 비윤리적이고 불법적인 콘텐츠에 대한 규제는 플랫폼 사업자가 콘텐츠 품질과 이용자 신뢰를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의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