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2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연일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오늘 신규 확진자가 50만 명을 육박할 걸로 알려졌습니다. 이제 하루 확진자 수로 우리나라가 세계 1위죠. 전 세계 신규 확진자 가운데 4명 중 1명이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셈입니다. 왜 그런 건지 또 지난 달에 모델링 했을 때 정점을 한 35만 명, 이렇게들 많이 봤는데 왜 이렇게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건지 또 정점 찍으면 그다음에는 꺾이는 거 확실한 건지 그게 언제인지 이분과 함께 짚어봅니다. 가천대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님 어서 오세요.
◆ 정재훈> 안녕하세요.
◇ 김현정> 모델링 예측치가 기관마다 다르기는 했어요. 지난달에 정부 같은 경우에는 37만 명이 정점이다 그랬고 정재훈 교수님 팀도 이 언저리 말씀하시지 않았어요?
◆ 정재훈> 저희 팀 같은 경우에는 2월 초와 중순에 결과를 발표했었는데요. 유행 정점은 지금쯤이라고 했고 그다음에 평균 확진자가 한 30만 명 가까이 될 거다, 그 정도 예상은 드렸었죠.
◇ 김현정> 그런데 오늘 50만 명 가까이 될 거다. 아직 발표는 안 났습니다마는 왜 이렇게 예측치보다 많은 거예요?
◆ 정재훈> 저희 유행 예측한 사람들의 입장에서도 매우 힘든 시간인데요. 유행 예측이라고 하는 것은 두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저희가 제시해 드린 숫자는 일주일의 평균 값이거든요. 그런데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요일에 자명한 패턴이 있고 특히 수요일에 발표된 확진자가 일주일 중에서 가장 높거든요. 그 이유가 주말효과도 있고 그리고 최근에는 하나가 더 추가가 됐는데 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학교 등교를 위해서 일요일에 진단검사 할 것을 권고를 받고 있잖아요. 그게 월요일, 화요일에 집계가 되고 수요일에 발표가 되는 것이거든요. 그런 효과까지 반영이 되면서 수요일에는 정말 높은 확진자가 나오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또 하나의 요소는 유행 예측을 한다라고 하는 것은 중요한 전제가 있는데요. 지금의 방역 정책이 그대로 간다라는 전제가 있는 겁니다.
◇ 김현정> 바뀌지 않고.
◆ 정재훈> 그다음에 방역의 완화가 계속 이루어지는 것은 실시간으로 그 결과가 모형에 반영이 되어야 되는데 그 정도까지는 어렵거든요. 그런데 지난 두 달 동안 있었던 변화를 좀 생각해 보면 사회적 거리두기도 이제 11시까지로 연장이 됐고 그다음에 사회적 거리두기도 감염자의 숫자를 줄이는 데 영향을 주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가격리, 역학조사, 이런 것들도 숫자를 줄이는 데 큰 영향을 주는데 그게 이제 완전히 없었잖아요.
◇ 김현정> 없어졌죠.
◆ 정재훈> 그런 영향들이 중복이 되는 데다가 진단검사 정책도 바뀌었고 이런 것들이 다 확진자의 숫자를 높이는 방향으로의 변화인 거거든요. 그런 모든 변화들이 다 중첩돼서 이번 주에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 김현정> 그럼 다시 예측할 때 정점은 얼마쯤이 될 것 같습니까?
◆ 정재훈> 정말 너무나 어려운 질문인데요. 그런데 저는 지금보다 한 일주일 정도는 정점 구간에 돌입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들고요.
◇ 김현정> 일단 기간으로는 지금이 돌입했다고 보세요?
◆ 정재훈> 지금은 정점 구간에 들어온 상태고요.
◇ 김현정> 들어온 상태고.
◆ 정재훈> 저는 다음 주 초반까지는 최정점을 지나게 될 것으로 예상은 하고 있습니다. 지금 생각을 해 보면 하루에 50만 명 가까운 확진자면 전 국민의 1%가 확진이 되고 있는 거거든요.
◇ 김현정> 매일매일.
◆ 정재훈> 그런데 우리나라의 진단검사 체계라고 하는 게 전체 감염자 중에 좋게 보면 절반 정도를 찾아낸다라고 평가가 되거든요.
◇ 김현정> 지금 하루에 50만 명이 나왔다 치면 실은 100만 명일 거라고 보시는 거예요.
◆ 정재훈> 100만 명 정도의 감염 규모가 매일 진행이 되는 건데 그렇게 치면 일주일이면 10% 이상이 감염되는 정말 빠른 속도거든요. 그렇게 되면 다음 주 정도가 되면 다음 주에는 감염될 수 있는 대상자의 숫자 자체가 계속해서 줄어들게 되는 겁니다.
◇ 김현정> 그러네요.
◆ 정재훈> 그런 영향 때문에 정점이 과학적으로 오는 것이거든요. 그래서 저는 다음주 후반 정도가 되면 그래도 어느 정도는 감소까지는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그런데 문제는 감소의 폭이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처럼 빨리 올라갔다가 빨리 내려가는 형태가 아닐 거라는 겁니다.
◇ 김현정> 그 이유는.
◆ 정재훈> 그 이유는 독일 같은 경우에도 과거에 방역이 잘 이루어졌던 나라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길게 끌리는 현상들이 관찰이 되거든요.
◇ 김현정> 그거는 마스크도 잘 쓰고 다니고 이러니까 오히려 더딘 거예요? 그런 거예요?
◆ 정재훈> 그런 효과도 있고 그다음에 남아 있는 감염 대상자의 숫자가 다른 나라보다 많기 때문에 그럴 겁니다. 그런 영향들이 있어서 상당히 오랫동안 갈 가능성은 있는데 그런데 국민들께서 이제는 확진자 숫자가 너무나 급격하게 매주마다 두 배씩 몇 주 동안 늘어났잖아요. 그래서 저는 중요한 것이 몇 명이 확진됐냐에 더이상 매몰될 필요까지는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그러면 중요한 건 뭐예요?
◆ 정재훈> 중요한 건 우리 의료체계와 사회가 버틸 수 있느냐. 거기에 대한 부분인데.
◇ 김현정> 위중증인 사람이 몇이고 사망자가 몇이고 그걸 넉넉히 우리 의료체계가 감당해 낼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 정재훈> 네, 그게 핵심인데요. 그런데 문제는 그게 지금은 위험할 수도 있다라는 거거든요. 그런데 지금 코로나19라는 것 자체가 사회 경제적인 피해도 있고 방역상의 피해도 있는데 항상 그 과정은 어느 쪽에 피해를 더 크게 하고 어느 쪽에 피해를 줄일 건가에 대한 부분인 거거든요.
◇ 김현정> 항상 반대로 가니까.
◆ 정재훈> 그런데 2월달, 3월달의 정책은 사회경제적인 피해를 줄이면서 방역상의 피해를 늘리는 정책이었죠. 그렇다면 방역상의 피해도 감당할 수 있는 한계점이 존재할 거거든요. 그럼 과연 그 한계점까지 도달할 것이냐. 한계점을 넘어설 것이냐에 대해서 집중을 해야 되는 시기인 거죠.
◇ 김현정> 이게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거리두기 완화랑 맞물려서 계속 우리가 같이 고민하게 되는데 이번 주가 지나면 새로운 거리두기로 갈 것인가 말 것인가를 또 정해줘야 되는 시기가 됐어요. 이제 이런 얘기가 나옵니다. 지금도 하루에 수십 만 명씩 확진되는데 확진자 수 이렇게 많은데 굳이 식당, 카페에서 인원 수 제한을 할 게 뭐가 있느냐. 이제는 그냥 거기도 푸는 게 맞지 않느냐 해서 전면 해지. 거리두기 방안 전면 해지안이 하나 있고 아니다. 지금 확진자 수 이렇게 늘어나는데 지금 감당이 안 되니까 의료진들이 당분간은 더 거리두기 강화해야 한다는 안이 있대요. 정 교수님 생각은 어떠세요?
◆ 정재훈> 저는 이런 방역에 있어서의 선택은 항상 중간에 답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두 가지 의견 모두 근거가 있는 의견이거든요.
◇ 김현정> 그렇죠.
◆ 정재훈> 그렇기 때문에 그 중간의 요소를 좀 찾아내는 게 저는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고요. 방역을 한번에 모두 완화하는 것도 매우 위험한 상태이고 그렇다고 해서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유행 정점을 지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같은 매우 가혹한 조치들이 더 강화되기도 어려울 뿐더러 (거리두기가) 가지는 의미도 점점 줄어들고 있거든요. 그렇다면 또 중간에 단계를 몇 가지 두면 됩니다. 한 번에 다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도 중간에 몇 가지 단계를 거치면서 갈 필요도 있는 것이고. 그리고 지금 같은 경우에는 유행 최정점에서 중환자의 정점 같은 경우에는 아마 3월 말에서 4월 초 정도에 올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는데 지금 정부가 준비하고 있는 중환자 병상 2700 병상 정도 되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정부가 발표하고 있는 코로나 재원 중환자와 병상을 사용하고 있는 점유율 사이에서는 약 50% 정도 차이가 있어요.
◇ 김현정> 그게 무슨 말이에요?
◆ 정재훈> 지금 정부가 발표하고 있는 중환자가 재원하고 있는 건 1200명 정도이거든요. 그런데 실제 병상을 쓰고 있는 건 1800병상 정도 됩니다. 그 이유가 중증으로 넘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분들이 중환자실에 미리 들어가 계시는 경우도 있고.
◇ 김현정> 미리.
◆ 정재훈> 그다음에 다른 질환으로 코로나19 치료가 완료되었지만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해서 계시는 분도 계시거든요. 그렇다고 한다면 2700병상 정도가 준비가 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감당 가능한 것은 1800명 정도일 거라는 거죠.
◇ 김현정> 그 말인거군요.
◆ 정재훈> 그러면 그 (병상이) 찰 때까지 남아 있는 여유가 지금 600병상에서 500병상 정도 남아 있는 겁니다. 그러면 앞으로 2주, 3주 정도 중환자가 더 증가한다라고 했을 때 그걸 감당할 수 있겠느냐에 대한 부분이 있어서 지금은 어차피 저는 4월이 넘어가는 순간부터는 대부분의 방역 정책은 의미가 없어질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유행 정점이 이미 지나가 버렸기 때문에 그때부터는 의미가 없는 것이죠.
◇ 김현정> 그러면 정리하자면 4월 넘어가면 방역이 의미 없을 만큼 이미 정점은 지나고 굉장히 많은 수의 국민이 이미 항체 생기고 완전 해지를 지금 사실은 당장 검토한다고 하는데 그럼 4월부터 거리두기 완전 해지는 생각해 볼 수 있고. 지금 당장, 그러니까 다음 주부터는 조금 불안하다, 그 말씀이세요?
◆ 정재훈> 네. 그렇습니다. 저는 중간에 어느 정도의 완충 지대가 있는 게 가장 안전한 방식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지금 정부가 유행 정점으로 올라가는 순간에서도 방역을 계속해서 완화를 해왔는데 그거는 방역상에서 위험 부담을 감수한 결정이었거든요. 더 이상의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까지 있겠느냐 제 의견인 거죠.
◇ 김현정> 지금 의료체계 여력에 한계가 왔다,이렇게 호소하는 의료진도 계시던데 정 교수님도 현장에서 그렇게 보세요?
◆ 정재훈> 현장에서는 그렇게 말씀을 해 주셔야 됩니다. 그래야지 방역정책에 있어서 의사결정에 반영이 되는 것이고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정재훈 교수 만나고 있습니다. 지금 이제 국민 7명 중 1명이 확진됐고 실제로는 더 많은 수, 숨어있는 수까지 하면 더 많은 수가 확진 상태이다 보니까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질문이 막 들어와요. 일단 이런 질문. 이미 확진이 됐던 사람들끼리는 모여서 마스크 벗고 같이 먹고 이래도 되는 건가요?
◆ 정재훈> 네, 그런 거는 사실 가능합니다. 가능하고. 그런 것들이 일상회복의 방식이 되겠죠. 하지만 거기에 대해서 질병관리청이나 질문가들이 아직까지 명확한 가이드를 못 드리고 있는데 그거는 현재 상황이 너무 바쁘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런 식으로 나아가는 것이 미래를 위한 방향인거죠.
◇ 김현정> 과학적으로는 그게 괜찮은 거죠?
◆ 정재훈> 네, 지금은 백신접종 완료되시고 감염까지 되셨으면 당분간은 재감염 되실 위험은 매우 낮다고 봐야 됩니다.
(연합뉴스)◇ 김현정> 그게 한 번 걸렸던 사람이 똑같은 종에 또 감염될 수 있기는 있어요?
◆ 정재훈> 가능성은 있는데요. 가능성이 극히 낮습니다.
◇ 김현정> 극히. 과학이 어차피 제로라는 건 없으니까 지금 과학자 입장에서는 극히라고 말씀하셨지만 사실상 현실적으로는 없다는 말이죠.
◆ 정재훈> 네. 하지만 다음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을 한다면 거기에는 재감염 가능성이 있으시죠.
◇ 김현정> 제가 그 질문 드리려고 해요. 제 주변에 델타 유행할 때 한 번 걸렸던 사람이 오미크론 유행하니까 다시 걸렸어요. 즉 한 번 변이가 바뀌니까 또 걸리더라고요. 그러면 지금은 오미크론이 유세종인데, 우세종인데. 또 다른 코로나 변이가 우세종으로 등장하면 또 걸릴 수가 있나요?
◆ 정재훈> 네, 그렇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대한 준비를 지금부터 해야 되는 거거든요. 저는 지금 오미크론 대유행이 정말 크고 이번 유행이 한 번 지나가게 되면 당분간 안정된 시간이 몇 개월 정도는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백신접종을 통한 면역도 감소한다라는 걸 이제는 우리가 이제는 알고 있잖아요. 그런데 감염을 통해서 획득한 면역도 감소할 수밖에 없고.
◇ 김현정> 잠깐만요. 백신 맞은 사람들 그 유지기간이 한 3개월로 지금 보통 보잖아요. 그렇죠? 3개월 아니에요?
◆ 정재훈> 3개월 정도가 지나면 50% 미만으로 효과가 감소하고 있고 그 뒤로도 쭉 떨어지죠.
◇ 김현정> 그렇죠? 그런데 저도 확진 한번 됐었거든요. 저처럼 자연 면역 체계가 생긴 사람도 시간이 지나면 효과가 떨어져요?
◆ 정재훈> 네, 효과가 감소하는 측면이 있고요.
◇ 김현정> 얼마나 그러면 버텨요?
◆ 정재훈> 그거를 아직까지 정확한 데이터를 모른다라는 게 가장 큰 문제인거죠. 그리고 아까 말씀하셨던 것처럼 새로운 변이가 등장을 해서 변이가 많이 이루어진다라면 그 감염을 통해 획득한 면역의 효과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는 거거든요.
◇ 김현정> 새로운 변이 등장하면.
◆ 정재훈> 그 시점이 과연 언제일 거냐. 그리고 그 새로운 변이가 우세종이 되는 시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 사회에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 이런 논의를 지금 유행의 정점이지만 지금부터 시작을 해야 되는 거죠.
◇ 김현정> 지금은 새로운 변이가 막 등장해서 걱정할 수준은 아닌 거죠?
◆ 정재훈> 걱정할 수준까지는 아닙니다만 스텔스 오미크론이라고 부르는 BA2라는 것이 우리나라에서도 우세종으로 다시 한 번 되고 있거든요. 그게 지금의 유행 규모를 조금 키우는 역할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이런 변이가 계속해서 등장한다라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라서 안 올 경우는 없다라고 보셔야 됩니다.
◇ 김현정> 아이고. 저는 이번 이 오미크론이 제가 지금 기가 막혀서 웃는 겁니다, 여러분. 좋아서 웃는 게 아니고. 이번에 오미크론이 이렇게 온 국민 한 번 휩쓸고 지나가면 저는 이제 이대로 끝나나보다 솔직한 희망이 좀 있었는데 또 완전 새로운 변이가 또 등장을 한참 몇 개월 후에 한다면 그럼 또 이런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는 거예요?
◆ 정재훈> 하지만 그래도 긍정적인 전망이 있는데요. 첫 번째는 뭐냐 하면 코로나 바이러스 같은 경우에는 반복해서 재감염되면 중증화율이 극심하게 낮아지는 걸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감염 기록이 있다라면 그다음에는 정말 감기처럼 지나갈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고요.
◇ 김현정> 그게 바로 말하는 계절독감, 계절감기처럼 지나간다 이런 거예요?
◆ 정재훈> 그런데 저는 계절독감과 비교하는 걸 정말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요. 코로나 바이러스와 계절독감은 한 단계 코로나 바이러스가 윗급이라고 보셔야 될 것 같아요.
◇ 김현정> 그렇죠.
◆ 정재훈> 그리고 계절독감의 치명률은 조금 과대평가 된 측면도 있고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오늘 말씀 듣도록 하죠. 정재훈 교수님 고맙습니다.
◆ 정재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