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사에서 열린 연회에서 수상 소감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문학작품을 읽고 쓰는 일은 필연적으로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하는 일입니다."
작가 한강이 10일(현지시간) 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 여성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감을 밝혔다.
한강은 스톡홀름 시청 '블루홀'에서 열린 2024 노벨상 시상식 연회에서 "가장 어두운 밤에도 언어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묻고, 언어는 이 행성에 사는 사람의 관점에서 상상하기를 고집하며, 언어는 우리를 서로 연결한다"며 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후 7시에 시작된 연회는 국왕과 총리, 스웨덴 한림원 등 수상자 선정 기관 관계자 등 사전 초청자 1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식사 사이사이 공연이 펼쳐지며 4시간을 훌쩍 넘겼다.
한강은 스웨덴 국왕의 사위인 크리스토퍼 오닐과 함께 연회장에 입장했고, 국왕과 대각선으로 마주 보는 자리에 앉아 연회를 즐겼다.
연회 말미 수상자들의 수상 소감을 발표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행사 진행자가 한국어로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소개하게 되어 영광입니다"라며 한강 작가의 소감을 청했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문학상 메달과 증서를 받은 뒤 환하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문학상 메달과 증서를 받은 뒤 환하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한강은 이날 소감에서 어린 시절의 경험을 털어놓으며 문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꺼냈다.
그는 "저는 여덟 살 때 오후 산수 수업을 마치고 돌아오던 중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 다른 아이들과 건물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던 일을 기억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길 건너편에는 비슷한 건물의 처마 아래에 비를 피하는 사람들이 보여 마치 거울을 들여다보는 기분이 들었다"며 "내리는 비를 바라보고 그 비에 팔과 다리가 젖는 것을 느끼면서 그 순간 저는 갑자기 이해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와 나란히 비를 피하는 사람들과 길 건너편에서 비를 피하는 모든 사람이 저마다 '나'로서 살고 있었다"며 "이는 경이로운 순간이었고, 수많은 1인칭 시점을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한강은 또 "책을 읽고 글을 쓴 시간을 돌아보면 저는 이런 경이로운 순간을 되새기고 또 되새겼다"며 "언어의 실타래를 따라 마음의 깊은 곳에 들어가면 다른 내면과 마주한다"고 말했다.
한강은 연회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4시 스웨덴 스톡홀름의 랜드마크인 콘서트홀(Konserthuset)에서 열린 시상식에 검은 드레스를 입고 참석해 부문별 시상 순서에 따라 네 번째로 호명돼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문학상 메달과 증서를 수여받았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사에서 열린 연회에 참석해 왕족 크리스토퍼 오닐과 함께 취재진을 향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사에서 2024 노벨상 연회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엄격한 드레스 코드 격식을 갖추는 노벨상 시상식에 따라 한강은 검정 드레스를 착용했다.
문학상 수상자를 호명한 엘렌 맛손은 영어로 "친애하는 한강"이라고 부르며 "국왕 폐하로부터 상을 받기 위해 나와 주시기를 바란다"고 청했다.
한강이 자리에서 일어나 무대 가운데로 향하자 장내 참석자들이 모두 기립했고, 메달과 증서를 받아 들고 환한 미소를 띠며 국왕과 악수하자 박수갈채가 쏟아졌다.
한강은 역대 121번째이자 여성으로는 18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별도로 열리는 노벨평화상을 제외하면 한국인이 스톡홀름 콘서트홀 블루카펫에서 노벨상을 받는 것은 1901년 첫 수여 이래 123년 만의 일이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