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 포스터.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12·12 군사 반란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의 김성수 감독이 12·3 내란 사태와 관련해 내란죄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지난 17일 오후 서울 동교동 인디스페이스에서 '제11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시상식에서 김성수 감독은 영화 '서울의 봄'으로 감독상과 작품상의 주인공이 됐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작품으로, 이번 12·3 내란 사태 발생 후 국민 사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영화이기도 하다.
김성수 감독은 "('서울의 봄'을) 준비하고 개봉하기까지 불안감과 걱정이 너무 많았다. 팬데믹 시절 예산이 꽤 많이 들어간 작품이라 손익분기점을 넘길까 걱정이 많았는데, 기적 같은 일이 벌어졌다"라며 "너무 많은 들이 봐주셔서 행복했다. 한편으로는 왜 이렇게 많이 볼까, 왜 젊은이들이 볼까 의구심이 있었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김 감독은 "얼마 전에 개봉 후 1년이 지나고 나서 12월 3일에 정신 나간 대통령이 갑자기 어처구니없는 친위 쿠데타를 벌이고, 그날 시민들이 뛰쳐나가 국회로 달려가고, 또 전국 각지에서 젊은 사람들이 뛰쳐나와서 탄핵을 찬성하는 모습을 보면서, 아 왜 요즘 관객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왜 우리 영화를 많이 봐줬는지 깨달았다"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특히 요즘 젊은 사람들이 정의감에 대한 올바른 신념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그래서 한편으로 요즘 생각하는 것은 영화감독으로서 어떻게 보면 위대한 감독들을 맞이해서 이 사람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전달해야 하나, 이전과 다른 어떤 방식으로 말을 걸고 어떤 이야기를 전달해야 할지에 대해 걱정이 앞섰다"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관객들을 맞이하는 이야기꾼으로서 흥분도 된다.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작품을 만들도록 열심히 정진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12·3 내란 사태 11일 만인 지난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이에 따라 헌법재판소는 180일 이내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진행해야 하며, 윤 대통령이 파면되면 6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치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