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유승민 대이변' 스승은 가장 먼저 알았다, 은밀한(?) 시그널에 캠프는 열광

스포츠일반

    '유승민 대이변' 스승은 가장 먼저 알았다, 은밀한(?) 시그널에 캠프는 열광

    14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제42대 대한체육회장선거에서 당선된 유승민 후보가 환호에 손을 들어 답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14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제42대 대한체육회장선거에서 당선된 유승민 후보가 환호에 손을 들어 답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에서 대이변을 일으킨 유승민(43) 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 위원 및 전 대한탁구협회장. 이기흥 현 회장의 3선이 유력하다는 예상을 뒤엎고 한국 스포츠 대통령으로 우뚝 섰다.

    유 후보는 14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올림픽홀에서 열린 회장 선거에서 가장 많은 417표를 얻었다. 379표를 얻은 이 회장을 제치고 42대 회장에 올랐다.

    당초 이번 선거는 이 회장의 3연임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우세했다. 8년 동안 체육계에 기반을 다진 이 회장에 대한 지지가 워낙 단단할 것이라는 예상이었다. 이 회장은 2016년 선거에서는 약 33%, 2021년에는 46.4%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이번에도 이 회장은 30~40%의 득표율이 예상됐다. 선거에 앞서 모 후보 캠프의 판세 분석에 따르면 이 회장이 30%가 넘는 지지율로 1위, 강태선 서울시체육회장과 유 후보가 20% 중반으로 엇비슷하게 경합하는 것으로 나왔다. 역시 이 회장에 대항한 후보 단일화가 해법처럼 보였다.

    하지만 개표 결과는 예상과 달랐다. 이 회장은 379표로 1209명 전체 투표인 중 31.3%의 지지를 얻었다. 다소 낮았지만 예상의 근사치였다. 그러나 유 후보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34.4%의 득표율을 보였다. 10%P 정도나 높게 나왔다. 3위는 강 회장으로 215표(17.8%)였다.

    개표 과정에서부터 유승민 후보 측 '위드유(with you) 캠프'의 분위기는 달랐다. 열세 예상에도 당선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었다.

    특히 결과 발표도 하기 전에 유 후보 캠프는 환희로 술렁거렸다. 무언가 메시지가 전달이 된 듯했다. 어떻게 유 후보 캠프는 결과를 조금이라도 빨리 알 수 있었을까.

    유승민 회장의 '위드유 캠프' 관계자들이 14일 대한체육회장 승리 뒤 기념 촬영한 모습. 빨간 원 안이 김택수 미래에셋증권 총감독으로 개표 당시 참관인으로 가장 먼저 유 회장의 승리를 확인한 뒤 목도리로 캠프에 결과를 은밀히 알렸다. 대한하키협회 신정희 부회장 유승민 회장의 '위드유 캠프' 관계자들이 14일 대한체육회장 승리 뒤 기념 촬영한 모습. 빨간 원 안이 김택수 미래에셋증권 총감독으로 개표 당시 참관인으로 가장 먼저 유 회장의 승리를 확인한 뒤 목도리로 캠프에 결과를 은밀히 알렸다. 대한하키협회 신정희 부회장 
    바로 개표 참관인으로 나선 김택수(55) 미래에셋증권 총감독이 보낸 은밀한(?) 신호 때문이었다. 김 감독은 유 후보 측 참관인으로 단상에에서 이뤄진 개표 진행 상황을 지켜봤다. 개표를 마친 뒤 발표 전 단상을 내려오면서 관중석 쪽의 캠프 쪽을 향해 미리 약속된 시그널을 보냈다. 그때 캠프 관계자들은 승리를 확신했던 것이다.

    김 감독은 "유 후보부터 개표 작업이 진행됐는데 417표였다"면서 "선거 중 이 회장이 500표 이상 600표까지 얻었다는 말이 돌아 불안했다"고 당시를 돌아봤다. 이어 "강 회장의 개표였는데 215표가 나와서 전체 1209표임을 감안하면 이 회장이 절반까지 차지할까 생각했다"고 떠올렸다. 여기까지는 표정이 굳어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후 반전이 일어났다. 김 감독은 "다음이 이 회장 차례였는데 슬쩍 보니 100표 묶음이 3개였고, 4개까지는 안 되는 것 같더라"고 말했다. 이어 "그래도 마지막 묶음이 왜 그렇게 두꺼워 보이는지 애가 타더라"고 웃었다. 결국 이 회장은 379표, 유 후보와 38표 차였다.

    후련한 마음에 김 감독은 개표 확인을 마치고 단상을 내려오면서 캠프를 향해 모종의 신호를 보냈다. 김 감독은 "원래 단상에 오르기 전에 목도리를 하고 있었는데 전체 개표가 끝나서 풀고 내려오면 승리한 것이라는 신호라고 캠프 동료들과 약속했다"고 귀띔했다. 긴장이 풀린 표정을 짓고 있는 김 감독의 풀린 목도리에 '위드유 캠프'는 비로소 환희로 가득찰 수 있었던 것이다.

    탁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유 회장의 선거에는 김 감독을 비롯해 유남규 한국거래소 감독, 현정화 한국마사회 감독 등 한국 탁구 전설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도움을 줬다. 최영일 마사회 감독, 협회 정해천 사무처장, 조용순 감독 등 탁구인들은 물론 경희대 김도균 교수, 대한하키협회 신정희 부회장 등 체육인, 유 회장이 위원장을 맡았던 국제스포츠전략위원회 관계자들도 힘을 실어줬다. 유 회장이 당선 소감에서 위드유 캠프에 대한 고마움을 강조한 이유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탁구 남자 단식 금메달을 따낸 유승민 회장이 당시 대표팀 코치였던 김택수 감독을 얼싸안고 기뻐하는 모습. 연합뉴스2004년 아테네올림픽 탁구 남자 단식 금메달을 따낸 유승민 회장이 당시 대표팀 코치였던 김택수 감독을 얼싸안고 기뻐하는 모습. 연합뉴스
    특히 김 감독은 유 회장이 2004년 아테네올림픽 남자 단식 금메달을 따냈을 당시 남자 대표팀 코치로 결승전 벤치에서 힘을 실어줬다. 유 회장이 중국의 왕하오를 꺾고 우승을 확정한 뒤 김 감독과 얼싸안은 모습은 역대 올림픽 명장면으로 꼽힌다.

    이후 유 회장은 대한탁구협회장에 오른 뒤 스승인 김 감독을 실무 부회장으로 모셨다. 2023년 항저우아시안게임, 지난해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파리올림픽 등 굵직한 대회를 함께 하며 환상의 사제 케미를 자랑했다.

    전날 캠프 축승연에 참석한 남자 테니스 국가대표 출신 임규태 KBS 해설위원은 끈끈한 사제의 정에 혀를 내둘렀다. 유 회장의 절친인 임 위원은 "김 감독님이 제자인 유 회장에게 경어를 쓰고 깍듯하게 인사를 하면서 예우를 해주는 모습이 정말 감동적이었다"면서 "유 회장도 스승을 존경하는 모습을 보니 사제 모두 왜 성공했는지 알 수 있었다"고 귀띔했다.

    김 감독은 "일각에서는 단일화가 안 되면 힘들 것으로 봤지만 우리는 이 회장이 나오더라도 충분한 자신감이 있었다"면서 "선수는 물론 IOC 위원과 협회장 등 현장과 행정 경험이 풍부한 유 회장 자신이 가장 큰 무기였기에 승산이 있다고 봤다"고 강조했다. 스승의 신념과 제자의 열정이 빚어낸 짜릿한 승리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