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동해 심해 가스전 가운데 1차 시추를 진행한 '대왕고래' 유망구조와 관련 채취한 시료를 분석·평가한 잠정 결과를 5월쯤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왕고래, 모두 실패라는 것 과해…5월쯤 유명성 검증 결과 설명"
안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액트지오가 분석한 석유시스템 유망성 평가에 대한 검증을 빨리해서 이른 시간 내 설명할 것"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동해 심해 가스전 7개 유망 구조 가운데 한 곳인 대왕고래 유망 구조에서는 1차 시추 결과 경제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나머지 6개 유망 구조의 유망성을 판단하는 데 이번 탐사 결과가 도움일 될 것이라는 취지에서다.
안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번 탐사 과정에서 확인한 자료를 잠정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5월쯤 발표하겠다. 액트지오가 분석한 석유시스템 유망성 평가에 대한 검증을 빨리해서 이른 시간 내 설명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에너지 3법(전력망확충법·고준위방폐장법·해상풍력특별법) 관련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안덕근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안 장관은 "액트지오가 했던 석유시스템 유망성 평가에 대한 검증을 기술자문단이 하고 있는데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결과가 나오면 설명하겠다"며 "액트지오 평가가 틀렸는지 맞는지 어느 정도의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설명을 드리려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또 대왕고래 유망구조 1차 시추결과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과 관련해 "이번에 하나 (시추) 해서 (석유·가스가) 안 나왔으니 '모두 실패고 다 엎어야 한다'는 얘기들이 과하게 나가는 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왕고래 유망구조는 넓고 얇은 모양으로, 이번 1차 시추에서는 뭔가가 터져 나오진 않았다"면서도 "이 넓은 구조가 분리돼 있다면 다른 구조에서는 (추가) 탐사가 필요할 수 있고, 이번 시추 자료를 분석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어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실패라고 보지 않는다. 이번에 확인한 석유시스템을 보면 액트지오의 유망성 평가보다도 신뢰성이 높다고 들었다"며 "확보한 자료를 기초로 오차를 보정하면 추후 탐사에서 성공률을 높여갈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회 산자중기위에 출석한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은 동해 심해 가스전 프로젝트와 관련, "(석유공사가) 제 개인 회사라면 일초의 망설임도 없이 투자할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김 사장은 대왕고래 유망 구조의 1차 시추 결과,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 상황에서도 해외 메이저 석유 시추·탐사 회사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이 슬로베니아 등 일부 유럽 지역에서 원전 수출 협상에서 빠지기로 한 것과 관련해서 안 장관은 "스웨덴과 슬로베니아 등에서 한수원이 빠진 것은 상업성이 안 맞기 때문으로 이해한다"며 "대신 다른 유럽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이 상당히 깊이 원전 수출을 논의 중이며, 미국과 조인트 파트너십을 통해 많은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11차 전기본 사실상 확정…野 반대에 당초 계획보다 원전 1기 줄여
이날 산업부가 오는 2038년까지의 전력수요 전망과 공급계획을 담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국회에 보고하면서 사실상 확정 단계에 접어들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5월 2038년까지 1.4기가와트(GW)급 대형 원전 3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등 원전 4기를 짓겠다는 전기본 초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야당의 반대로 전기본 확정이 지연되자 당초 계획과 달리 원전 1기를 빼기로 하고 태양광발전 설비 용량을 2.4GW 추가하는 내용까지 담아 수정안을 제출하면서 이날 사실상 확정됐다.
이대로 11차 전기본이 최종 확정되면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이 반영된 신규 원전 건설계획은 2015년 7차 전기본 이후 10년 만에 마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