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광주 각 자치구, 지역사랑상품권 도입 추진…재정 문제 '온도차'

광주 각 자치구, 지역사랑상품권 도입 추진…재정 문제 '온도차'

광주 북구, 지역사랑상품권 100억 규모·10% 할인 예정
북구 "지류·모바일 아닌 실물카드만 발행키로"
타 자치구 "예산투입, 골목형상점가 활성에 주력해야"
시민들 "할인 수단 많아지면 혼란 가중"

화순군에서 발행한 지역사랑상품권. 기사와 연관없음. 전남도 제공화순군에서 발행한 지역사랑상품권. 기사와 연관없음. 전남도 제공
광주지역 5개 자치구가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추진 중이지만 일부 자치구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 다소 유보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광주 북구청은 광주지역 5개구 중 가장 빠른 지난해 12월 북구사랑상품권 발행과 운영 조례를 제정했다.

북구청은 21일 상품권 발행규모와 계획 등을 정하는 운영위원회의 첫번째 회의를 진행했다. 회의 결과, 오는 9월 추석 한달 동안 한시적으로 광주 북구 내에서 사용가능한 100억 원 규모의 상품권을 모바일이나 지류 상품권이 아닌 실물 카드 형태로만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기존에 광주시 전역 가맹점에서 사용가능한 광주상생카드는 7%의 할인율을 제공하는 반면 북구사랑상품권은 북구 내에 있는 광주상생카드 가맹점을 대상으로 10%의 할인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북구청 관계자는 "100억 원 규모의 상품권을 발행하면 실제 구비는 10억 원이 투입된다"며 "지난달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을 10%까지 올리기 위해 자치구 분담을 했을 때도 북구는 12억 원이 투입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10억 원이라는 구비는 큰 액수지만, 지난달과 비교해볼 때 확연히 높지 않아서 100억 원 규모 발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 전통 시장 사진. 기사와 연관 없음. 류영주 기자한 전통 시장 사진. 기사와 연관 없음. 류영주 기자그러나 일부 자치구는 재정 여건이 어려운데다 예산 투입이 더 시급한 사업이 많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전통시장에서만 사용가능하던 온누리상품권 사용처가 골목형상점가 등으로 확대되고, 구매한도도 150만 원에서 200만 원까지 늘자 골목형상점가 활성화에 예산을 더 투입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도 나온다.

일부 시민들은 해당 자치구 안에서만 쓸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은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과 혼란이 더 커진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광주 남구에 거주하는 40대 여성 김모씨는 "할인이 되는 수단이 너무 나뉘어서 헷갈릴 거 같다. 굳이 광주상생카드와 온누리상품권이 있는데 또 새로운 카드를 만들 필요 있을지 모르겠다"며 "가장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곳은 아이들 교육비인데, 식비를 쓴다고 해도 이미 온누리상품권으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광주 광산구에 사는 50대 남성 박모씨는 "지역사랑상품권은 결론적으로 예산을 퍼주겠다는 말"이라면서 "국비와 시비 투입이 되는 수단이 있는데 각 자치구까지 한다고 하는 것보다 차라리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도록 결제 가능 수단이 한 종류로 묶여져야 좋을 거 같다"고 말했다.

광주 광산구는 오는 3월 임시회에 조례를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광주 서구와 동구, 남구는 조례 제정 이후 타 지자체의 지역사랑상품권 사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한 자치구는 "충남 부여군의 '굿뜨래페이'를 선진 사례로 보고 있다"면서도 "부여군은 인구감소지역으로 분류돼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의 50%를 국비로 지원받아 자치구 상황과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광주 5개 구청은 각기 다른 재정 여건과 상황 속에서 지역사랑상품권 도입을 놓고 온도차를 보이고 있어 시행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