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 부산시 제공부산시는 다음 달부터 데이터 기반 행정 선도와 디지털경제 도시 구현을 위한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시범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은 산재한 공공·민간의 데이터를 수집·통합해 데이터 전주기를 관리하고, 데이터 분석·활용을 통해 과학적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지난 2023년 8월 구축 사업에 착수해 지난해 8월 1단계 사업인 '빅-데이터웨이브' 포털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 개방과 분석·시각화 및 데이터 활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단계 사업은 데이터마켓과 통합 데이터 지도, 고용이동변화 등을 담은 실증과제 서비스로 다음 달 시범운영에 들어가 오는 7월부터 공식 운영할 예정이다.
플랫폼 내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데이터 마켓에는 민간데이터 공급·수요기업이 참여해 기업 보유 데이터를 유통·거래해 데이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전국 지자체와 행정안전부 보유 데이터의 소재 정보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통합 데이터 지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분석 활용의 실증 사례로는 키워드와 뉴스를 분석한 빅데이터 기반의 '시민 관심도'와 '수산물 유통 모니터링', '고용이동변화' 등의 데이터를 서비스할 계획이다.
시는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별 맞춤형 홍보와 서비스 개선을 위해 시민 참여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부산시 이준승 행정부시장은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시정 구현과 지역 데이터 산업 생태계 확산 및 디지털 경제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