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김관영 지사 "2036 올림픽 분산개최 확대…서울·경기 경기장도 검토"

김관영 지사 "2036 올림픽 분산개최 확대…서울·경기 경기장도 검토"

"경제성 올리는 핵심은 신설 경기장 최소화"
"분산 재배치로 비용 줄이는 최적 방안 찾을 것"
비수도권 연대 분산개최로 대구·광주·충청·전남
내달 8일 IOC 바흐 위원장 면담 예정
차기 위원장인 코번트리 면담 추진 중

김관영 전북도지사. 전북도 제공김관영 전북도지사. 전북도 제공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전북 전주가 선정되고 본격적인 국가 경쟁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가 종목 분산개최 계획을 재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올림픽 유치 계획의 경제성을 올리는 것의 핵심은 신설 경기장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며 "전북도가 직접 신설·증축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고 저렴한 대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그동안은 서울과 경쟁 관계에 있어 서울이나 경기도 경기장을 사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울 수 없었지만, 이제는 열린 자세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를 들어 우리가 관중석을 증축하는 데 500억 원이 들어가는데 다른 곳은 200억 원만 들어간면 (후자를) 우선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며 "전체적인 비용을 줄이면서도 전북이 주도하는 올림픽이라는 기본 취지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당초 전북도는 비수도권 연대 분산개최 전략으로 대구(육상), 광주(수영·양궁), 청주(체조), 충남(테니스), 전남 고흥(서핑) 등 지방 도시들과 연계해 기존 시설을 활용할 방침이었다. 주요 구기종목과 해양스포츠 종목을 전북 전주, 새만금 등에서 치를 계획이다.

전북이 구상하고 있는 올림픽 시설 조감도. 전북도 제공전북이 구상하고 있는 올림픽 시설 조감도. 전북도 제공 
김 지사는 종목을 더욱 분산해 경제성 분석(BC 분석)에서 경쟁국보다 더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자 한다. 올림픽 유치에서 경제성 분석은 경기장 신·증축 비용(Cost)과 IOC 지원금, 관광객 소비 등의 혜택(Benefit)을 비교하는 것으로, 경기장 신·증축 비용을 얼마나 줄이느냐가 관건이다.
 
김 지사는 "계획이 나오면 대한체육회와 협의한 뒤 지자체와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북도는 조만간 한국스포츠과학원에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맡길 계획이다.

한편,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전략은 비수도권 연대 분산개최로 시설 경기장을 최소화하고 올림픽으로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겠다는 구상이다.
 
2036 하계올림픽 개최도시는 2025년 말이 지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과 인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등이 개최를 희망하고 있다.
 
김 지사는 오는 4월 8일 유승민 대한체육회장과 함께 스위스에 있는 IOC 바흐 위원장을 면담한다. 김 지사와 유 회장은 차기 위원장으로 선출된 커스티 코번트리(짐바브웨·41)와의 면담도 추진하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