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영덕 산불 나흘만에 주불 진화…'잔불 완벽 정리에 총력'

LIVE

영덕군 공무원들이 산불 진화에 나서고 있다. 이종석씨(영덕군 독자) 제공영덕군 공무원들이 산불 진화에 나서고 있다. 이종석씨(영덕군 독자) 제공
경북 영덕 산불이 나흘 만에 주불이 진화되며 95%의 진화율을 보이면서 경북 동해안 지역은 안도하고 있다.
 
산림청은 28일 오후 2시 30분 쯤 영덕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영덕 지역 산불영향구역은 8050㏊, 전체 화선은 108㎞였다.
 
의성에서 발화한 산불이 청송을 거쳐 지난 25일 오후 5시 54분쯤 영덕군 지품면 황장리로 번지며 시작된 영덕 산불이 나흘만에 잡혔다.
 
임근호씨(영덕군 독자) 제공임근호씨(영덕군 독자) 제공
영덕 서쪽에서 시작된 산불이 초속 25m 이상의 강풍에 동쪽 끝 영덕읍 노물리 해안까지 확산되는데는 4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영덕 전역이 산불 피해를 입었고, 지품면과 달산면, 축산면 등 영덕 서북부지역은 직격탄을 맞았다.
 
차량 전소와 매몰 등으로 9명이 숨지고, 8명이 화상 등 부상을 입고 후송됐다. 주택 945채가 전파되면서 이재민 900여명이 발생해 임시 대피소에 머물고 있다.
 
영덕 전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던 산불은 지난 27일과 28일 내린 비로 발화가 멈추면서 95%의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
 
영덕군 관계자는 "영덕 산불은 주불이라고 할만한 불은 없었다. 국지적으로 여러곳에서 불이 나는 상황이었다"면서 "내린 비로 불이 더 이상 확산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재민 대피소 영덕국민체육센터. 김대기 기자이재민 대피소 영덕국민체육센터. 김대기 기자
영덕군은 산불 진화를 완료한 뒤 본격적인 피해조사를 시작해 임시주거시설을 마련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선다.
 
영덕군 관계자는 "이재민 가운데는 정전이 되면서 단전·단수가 돼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전기 복구 작업 후에는 집으로 돌아가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전소된 분들은 영덕군에서 컨테이너 거처를 마련할 때까지 군 소유 숙소나 공공숙소, 민간 숙소 등에 머물수 있게 연계할 방침이다"고 덧붙였다.
 
영덕지역 농가 경운기가 화재로 타버려 흔적을 알 수 없게 됐다. 임근호씨(영덕군 독자) 제공영덕지역 농가 경운기가 화재로 타버려 흔적을 알 수 없게 됐다. 임근호씨(영덕군 독자) 제공
산림 당국은 현재 잔불 정리에 총력을 쏟고 있는 가운데 노심초사하던 포항 등 인근 지자체는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
 
포항시가 경북 산불에 대응해 24시간 대응 체제를 유지하며 시민 안전에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산불 예방을 위한 행정 명령에 따른 입산 금지, 골프장 등 산림 연접지의 흡연 금지, 소각 행위 엄금 등을 점검하고 있다. 이·통장 순찰과 연접 시군 산불 야간 순찰조 운영과 24시간 대응 체제를 유지해 힘을 쏟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