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0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와 관련해 "앞으로 90일 동안 모든 협상에 진전을 보여서 관세의 부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더욱더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무역에 의존해서 우리의 성장과 발전을 많이 기대고 있는 대한민국으로서 여러 장관의 각별한 노력을, 또 의지를 촉구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대행은 "우리나라의 관세 수준 또는 여러 가지 세제·세금 수준 그리고 비관세장벽, 위생 이런 것들이 다 한꺼번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안다"며 "우리 규제가 완화되면 외국기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에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 많으니 각종 규제를 담당하는 여러 부처의 장관들께서 특별히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앞서 한 대행은 지난 8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8분간 통화하며 △한미동맹 강화 △무역균형 등 경제협력 △북핵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같은날 공개된 CNN 인터뷰에선 '한국이 중국·일본과 연합해 미국 관세에 맞설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그런 길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10일 "한 대행이 미국의 요구를 다 들어줘 버린 것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되고 있다"며 "백악관이 통화 직후 '정말 많은 양보가 있었다'는 평가를 내놨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진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원스톱 쇼핑'이라는 말에서 보듯 미국은 한국의 무역흑자, 관세, 조선업, 방위비분담금 등 자신들이 원하는 모든 사안을 쏟아낸 것 같다"며 "미국 측에서 흘러나오는 얘기를 보며 국민이 불안해한다. 한 대행의 대미통상 협상을 믿을 수 없다는 말까지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미자유무역협정의 틀 안에서 협상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그 과정을 국회와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 지지를 얻어야 한다"며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국민, 국회, 정부가 합심해야 하며 그런 측면에서 국회 통상대책특위 설치를 미룰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