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무분별하게 퍼진 '개인정보'…그 결말은?



경제 일반

    무분별하게 퍼진 '개인정보'…그 결말은?

    고객 정보 담기 종이 이면지로 활용되기도…

    (사진=이미지비트 제공/자료사진)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의 정보유출은 보안업무를 담당하던 KCB 직원이 대출모집인에게 정보를 팔아넘기기 위해 시작됐다.

    불과 한 달 전 일어난 한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과 한국 씨티 은행의 정보유출도 내부 직원이 회사 전산망에 저장된 대출 채무자의 정보를 A4용지 1100여장에 출력해 대출모집인에게 전달했다.

    금융사들로부터 수집된 내부 정보에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뿐 아니라 주거지, 과거 대출 내역 등이 포함돼 있다. 전화 마케팅이 주 업무인 대출업체 등에는 그야말로 고급정보다.

    ◈ 불법 대출 TM이 밝히는 '개인 정보'의 끝은…

    15평 남짓 공간의 대부 업체 사무실에 8~9명의 TM(전화 영업) 직원들이 일을 한다. 칸막이 쳐진 사무실 안에 마련된 책상과 전화, 프린트 된 고객 정보가 전부다.

    이들에게 정해진 콜 수는 없다. 명단에 있는 누군가와 연결이 될 때까지 계속 전화를 돌린다. 수신자가 받지 않을 경우 여러 차례 전화를 건다.

    (사진=이미지비트 제공/자료사진)

     

    한번 배포된 고객정보는 일주일 정도 사용되는데 다시 회수되지 않는다. 프린트 된 종이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과거 대출 이력 등이 적혀있지만 회수나 파쇄 과정은 없다.

    전직 TM 직원인 A씨는 "고객 정보 등이 담겨 있지만 회수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고객정보가 적힌 종이는 이면지로 다시 활용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불법 대부업체 TM들 대부분 단기 계약직으로, 지원만 하면 바로 채용된다. 특별한 보안 교육을 거치지 않고 개인정보의 중요성도 인식하지 못한다.

    몇몇 직원들은 퇴직을 하면서 받아 놨던 명단을 인터넷의 정보 거래 사이트 등에 판매하기도 한다.

    정보는 1차, 2차, 3차로 분류된다. 수집된 정보의 기간이 짧고, 전화를 건 횟수가 적을 수록 1차 정보로 분류돼 비싸게 팔리지만 3차 정보로 분류되면 한건당 100원도 안되는 헐값에 팔린다.

    대부업체뿐 아니라 TM을 통해 고객을 확보하는 일부 통신사 대리점과 소규모 여행사 등도 정보관리가 허술하기는 마찬가지다.

    알뜰폰 대리점에서 TM업무를 담당했던 B(24)씨는 "기존에 가입했던 통신사 고객 정보가 우리에게 넘어오면 연령대가 높은 분들을 대상으로 전화를 한다"며 "정보들은 프린트 된 채로 나눠진다. 회수를 꼼꼼히 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정보를 빼낼 수 있다"고 말했다.{RELNEWS:right}

    금융당국은 불법 개인정보 유통을 막기 위해 검찰과 경찰 등 정부 관계기관이 합동 단속에 나서고, 불법 개인정보 신고센터도 운영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책이 금융사 정보유출 여부에만 집중돼 있을 뿐 금융사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은 제휴사 등에 대해서는 감독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고 있어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